LG에너지솔루션 3대 실행 과제.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30일 올 1분기 매출 6조2650억원, 영업이익 374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138.2% 증가했다.

이번 1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세액 공제 금액은 4577억원이다. 이를 제외하면 830억원 적자다. 지난해 4분기는 세액 공제 금액을 제외한 적자가 6028억원이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손익은 원재료비 하향 안정화 및 비용 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 노력으로 전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북미 판매 증가에 따른 생산 보조금도 반영돼 3747억원의 흑자 및 20%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마진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또 향후 배터리 산업에 대해서는 '현지 생산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산업 수요에 부담이 될 수 있으나, 현지 생산 기반을 확충한 기업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중국 배터리가 장악한 미국 ESS 시장은 '탈 중국' 기조가 강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유럽 시장의 경우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 벌금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발표하며 단기적인 전기차 확대 속도가 다소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극심한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성장 모멘텀을 지속하기 위한 ▲운영 효율화 ▲전략적 사업 기회 발굴 ▲관세 영향 최소화 및 비용 절감 등 실행 과제를 발표했다.

올해는 필수 불가결한 투자를 중심으로 집행하되 추가로 투자 및 원가를 절감할 아이템을 발굴하고, 수요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생산능력(캐파) 증설 규모와 속도를 조절할 계획이다.

아울러 변동성이 큰 전기차 배터리 재고를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ESS 매출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46시리즈 등 신규 제품군을 기반으로 수주 역량을 높이고 성장 잠재력이 큰 휴머노이드, 드론 등에 적합한 셀 개발 등 전략적 사업 기회 발굴도 지속한다.

마지막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미 진출 소재 업체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원재료 현지 생산 공급망을 구축하고, 신규 공정 개발을 추진한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지만 지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다시없을 성장과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 분명하다"며 "수많은 최고, 최초의 역사를 만들어온 LG에너지솔루션만의 저력을 바탕으로 흔들림 없이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