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거래량과 중위거래 가격, 거래되는 전용면적이 모두 감소했다. 대출 규제에 따라 자금 부담이 커지면서 수요자들의 선택 기준이 달라진 모습이다.

2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이후(6월 10일~7월 15일)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대책 전과 비교해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약 1억6000만원 하락, 중위 전용면적은 84㎡에서 75㎡로 9㎡ 줄어들었다. 거래량도 73% 감소해 시장이 관망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6·27 대책 전후 수도권 거래시장. (자료=직방)

서울도 이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대책 발표 전 7150건 이었던 거래량이 1361건으로 감소, 중위가격도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감소했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줄어 더 작은 면적대 아파트 거래가 늘어났다.

고가 단지가 밀집된 강남권의 경우 대출 규제 영향이 크게 반영됐다. 강남구는 중위가격이 29억 원에서 26억 원으로 하락, 서초구는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낮아졌고 거래량도 134건에서 13건으로 급감했다. 송파구는 상대적으로 조정 폭이 작았으나 거래량은 339건에서 118건으로 줄었다. 거래시장은 정체기를 보이지만 거래 면적은 85㎡로 유지돼 중형평형 수요는 일정 수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강남권처럼 거래 면적은 85㎡로 유지되었으나 가격하락은 피하지 못했다. 마포구는 중위가격이 15억2750만원에서 12억2000만원으로, 용산구는 18억500만원에서 15억4000만원으로, 성동구는 15억8000만 원에서 14억600만 원으로 하락했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 지역의 경우 6·27 대책의 영향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지역들이지만, 다른 지역들처럼 중위가격 하락과 거래량 둔화가 일어났다. 중저가 지역에서도 뚜렷한 상승세보다는 제한된 자금 여건 속에서 차선 평형과 가격대를 택하는 수요자 중심 거래가 주로 이뤄졌다.

노원구는 거래 면적이 59㎡로 유지됐으나 중위가격은 5억9500만원에서 5억1900만원으로 하락했다. 강북구는 거래 면적 85㎡에 가격대는 6억9000만원, 금천구는 거래 면적이 60㎡로 유지됐으나, 중위가격이 5억8250만원에서 5억4500만원으로 낮아졌다. 구로구는 거래 면적이 78㎡에서 74㎡로, 중위가격도 7억19000만원에서 6억5000만원으로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전체 중위가격은 5억5000만원에서 4억4500만원으로, 거래 면적은 78㎡에서 75㎡로 줄었다. 수원시 영통구, 성남시 분당구, 용인 수지구 등은 서울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로 한때 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나, 대책 이후에는 거래량과 가격이 함께 하락했다.

6·27 대책 전후 경기 아파트 거래시장. (자료=직방)

과천시는 거래량은 급감했으나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27억 원), '과천푸르지오써밋'(20억8500만원) 등 고가 단지 거래가 중위가격을 끌어올렸다. 여주시, 안성시 등 저가 단지 중심 지역은 대출 규제 영향이 크지 않아 가격이나 면적에서 뚜렷한 변화 없이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인천은 대책 이전 2003건이던 거래량이 804건으로 줄었고, 중위가격도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하락했다. 연수구, 남동구 등 주요 지역에서도 가격 조정이 관측됐으며 계양구·부평구·서구 등은 전용면적 변화 없이 같은 면적의 가격대가 하향 조정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러한 양상이 "심리적 위축이라기보단 자금 여건과 대출 가능 범위에 따른 '선택 구조의 재편'으로, 거래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현상이기에 일시적 착시인지 구조 전환의 신호인지 좀 더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향후 금리·대출 규제 변화와 추가 정책의 방향성에 따라 수요자의 선택 기준과 거래 흐름이 조정될 여지가 있으며, 당분간 제도 변화에 대한 적응과 관망이 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