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29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온라인 기자간담회 화면 캡쳐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미국내 생산거점 확보가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어 해당 제품들에 대한 의약품 관세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을 전망이다.

29일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관세는 결국 기업이 미국에 제품을 팔지 말지를 판단해야 하는 문제”라며 셀트리온이 미국 현지 생산체제를 완성해 관세 리스크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현재 미국 내 위탁생산(CMO) 회사와 완제의약품(DP)이 계약돼 공급을 받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가 시설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롭게 공장을 짓는 것보다는 기존의 공장 인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좋겠다고 생각한다”며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가지고 있는 대규모 미국 내 공장 시설을 인수하기 위해 6개월 전부터 스터디를 시작했고 오늘부로 셀트리온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상호 지정됐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cGMP 생산 시설로 미국 내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 해당 공장의 피인수 기업명을 포함한 관련 상세 내용은 양측간 협의에 따라 올해 10월 초순으로 예상되는 본계약 체결시까지 비공개 예정이다.

확정 실사 이후 공장 인수가 마무리되면 셀트리온은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는 지난 5월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이 간담회를 통해 제시한 관세 대응 종합 플랜이 차질 없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관세 대응을 위해 선제적으로 조치한 2년치 재고의 미국 이전, 현지 CMO社 계약 확대 등 중단기 전략에 이어 관세 위험 분산의 근본적 해결책인 현지 공장 인수까지 완료해 향후 발생 가능한 모든 관세 리스크에서 자유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해당 cGMP 시설의 50%는 CMO 계약을 통해 피인수 회사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할 수 있어 인수 후 바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점도 큰 장점이다. 이에 따라 투자금 회수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잔여 50%에서는 미국 내 판매 중인 셀트리온의 주요 제품들을 생산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미국 내 의약품 판매 추이와 신규 제품 출시 타임라인 등을 고려해 추가 증설도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송도 2공장의 1.5배 수준까지 생산 캐파 확장이 가능하다. 현지 생산 캐파 확대를 통해 현지 시장 대응력을 키우는 한편 미국에서 판매될 후속 신규 제품군도 일찌감치 관세 영향권에서 탈피시킨다는 전략이다.

서 회장은 “관세 범위에 따라 인수 자금과 운영 자금까지 더해 투입되는 자금은 총 7000억원 규모로 예상되며 연내 인수 완료가 목표”라며 “인수 예정 공장에는 생산뿐만 아니라 개발 인력도 함께 포함됐으며 한국의 연구개발(R&D) 역량과 미국 내 연구기지를 연계하는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이번 공장 인수를 마무리하면 경제성과 사업성을 갖춘 최적의 시설을 미국에서 확보하게 돼 최단기간 내 미국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전망”이라며 “미국에서 판매중인 주요 제품들의 점유율 가속화를 이끌 계기가 마련되고 있는 만큼 기회를 살려 퀀텀점프를 이뤄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