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판씨네마 감초 같은 역할로 보는 이들을 즐겁게 한 최귀화가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코믹 연기를 펼쳤다. “일부러 웃기는 것은 지양했다”는 최귀화의 말처럼 자연스럽게 상황에 몰입을 하다 보면 웃음이 터진다. ‘기방도령’은 불경기 조선, 폐업 위기의 기방 연풍각을 살리기 위해 꽃도령 허색(이준호 분)이 조선 최초의 남자 기생이 되는 이야기를 담은 코믹 사극이다. 최귀화는 극 중 신선을 꿈꾸다 기방에 정착하게 된 괴짜 도사 육갑 역을 맡아 코믹한 모습으로 웃음을 자아낸다. 전에 없던 독특한 캐릭터지만, 최귀화는 영화의 소재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조선시대 첫 남자 기생이라는 영화의 흥미로운 설정에 매료돼 출연을 결정했다. “시나리오 소재가 마음에 들었다. 미처 생각하지는 못했지만, 조선시대 열녀들이 유흥을 즐기는 상황이 법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기방에 모인 이들의 인생 이야기로 확장을 시킨다는 것도 좋았다. 여기에 멜로도 잘 어우러졌다. 웃길 수 있단는 것도 좋았지만 소재에 더 만족했다.” 최귀화는 기생 허색과 콤비로 활동하는 도사 육갑을 통해 본격적인 코믹 연기를 펼친다. 영화의 웃음을 책임지며 신스틸러로 활약했다. 그러나 몸 개그나 개인기를 통해 일부러 웃음을 만들지는 않았다. “과하거나 억지스러운 웃음은 그 순간은 웃길 수 있지만, 나중에는 마이너스가 된다. 그래서 코미디는 배우 입장에서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이번에도 일부러 웃기려고 하지는 않았다. 억지스럽게 충격을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했다. 인물들 간의 관계 속에서 상황을 만들어야 하고, 그 상황이 재밌어야 진짜 웃기는 거다.” 사진제공=판씨네마 육갑이 숲에서 나체로 허색을 위협하는 등장 장면부터 웃음이 터진다. 하지만 이 장면은 대역이었다. 최귀화는 충격적인 등장이었다는 반응에 직접 하지 못해 아쉽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이런 반응이라면 직접 할 걸 후회도 된다. 하지만 너무 창피하더라. ‘굳이 이렇게까지 나체로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강했다. 감독님께 말씀을 드렸더니 편의를 봐주셨다. 찍을 때도 웃겼다. 휑한 숲에 육갑이 갑자기 나타나서 걸어가지 않나. ‘이거 너무 막 찍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는데, 지금 보니 뜬금없는 재미를 주려고 하신 것 같다. 너무 힘을 주면 개연성을 따져야 하지만 그런 걸 아예 배제시키고 ‘병맛’ 코드로 가신 것 같다.” 이렇듯 코믹한 장면이 많았던 만큼 최귀화는 남 감독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캐릭터를 만들어갔다. 유연한 태도로 배우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남 감독 덕분에 애드리브도 마음껏 할 수 있었다. “분위기가 워낙 좋아 현장에서 많이 즐겼다. 감독님은 작은 준비만 해가도 그걸 확장시켜 주셨다. 재미있게 촬영을 했다. 전에도 어필 할 부분이 있으면 망설이지는 않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유독 소통을 많이 했다. 감독님이 나와 나이가 비슷하다 보니 같은 삶을 살았고, 생각이 잘 통했던 것 같다.” 이런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육갑과 더욱 닮아갔다. 최귀화는 육갑을 ‘연기’하지 않고, 평소 모습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애썼다. “캐릭터가 구체적으로 잘 쓰여 있었다. 감독님과 많이 이야기도 하면서 내가 육갑을 연기하는 게 아닌, 나로서 육갑을 표현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육갑은 그냥 최귀화라고 생각하고 접근했다. 연기가 아닌, 그냥 최귀화가 까불 때의 모습이었다.”  ②편으로 이어짐

[마주보기①] 최귀화 “제대로 된 코미디는 처음, 일부러 웃기지 않는다”

장수정 기자 승인 2019.07.11 15:05 | 최종 수정 2139.01.18 00:00 의견 0
사진제공=판씨네마
사진제공=판씨네마

감초 같은 역할로 보는 이들을 즐겁게 한 최귀화가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코믹 연기를 펼쳤다. “일부러 웃기는 것은 지양했다”는 최귀화의 말처럼 자연스럽게 상황에 몰입을 하다 보면 웃음이 터진다.

‘기방도령’은 불경기 조선, 폐업 위기의 기방 연풍각을 살리기 위해 꽃도령 허색(이준호 분)이 조선 최초의 남자 기생이 되는 이야기를 담은 코믹 사극이다. 최귀화는 극 중 신선을 꿈꾸다 기방에 정착하게 된 괴짜 도사 육갑 역을 맡아 코믹한 모습으로 웃음을 자아낸다.

전에 없던 독특한 캐릭터지만, 최귀화는 영화의 소재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조선시대 첫 남자 기생이라는 영화의 흥미로운 설정에 매료돼 출연을 결정했다.

“시나리오 소재가 마음에 들었다. 미처 생각하지는 못했지만, 조선시대 열녀들이 유흥을 즐기는 상황이 법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기방에 모인 이들의 인생 이야기로 확장을 시킨다는 것도 좋았다. 여기에 멜로도 잘 어우러졌다. 웃길 수 있단는 것도 좋았지만 소재에 더 만족했다.”

최귀화는 기생 허색과 콤비로 활동하는 도사 육갑을 통해 본격적인 코믹 연기를 펼친다. 영화의 웃음을 책임지며 신스틸러로 활약했다. 그러나 몸 개그나 개인기를 통해 일부러 웃음을 만들지는 않았다.

“과하거나 억지스러운 웃음은 그 순간은 웃길 수 있지만, 나중에는 마이너스가 된다. 그래서 코미디는 배우 입장에서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이번에도 일부러 웃기려고 하지는 않았다. 억지스럽게 충격을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했다. 인물들 간의 관계 속에서 상황을 만들어야 하고, 그 상황이 재밌어야 진짜 웃기는 거다.”

사진제공=판씨네마
사진제공=판씨네마

육갑이 숲에서 나체로 허색을 위협하는 등장 장면부터 웃음이 터진다. 하지만 이 장면은 대역이었다. 최귀화는 충격적인 등장이었다는 반응에 직접 하지 못해 아쉽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이런 반응이라면 직접 할 걸 후회도 된다. 하지만 너무 창피하더라. ‘굳이 이렇게까지 나체로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강했다. 감독님께 말씀을 드렸더니 편의를 봐주셨다. 찍을 때도 웃겼다. 휑한 숲에 육갑이 갑자기 나타나서 걸어가지 않나. ‘이거 너무 막 찍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는데, 지금 보니 뜬금없는 재미를 주려고 하신 것 같다. 너무 힘을 주면 개연성을 따져야 하지만 그런 걸 아예 배제시키고 ‘병맛’ 코드로 가신 것 같다.”

이렇듯 코믹한 장면이 많았던 만큼 최귀화는 남 감독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캐릭터를 만들어갔다. 유연한 태도로 배우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남 감독 덕분에 애드리브도 마음껏 할 수 있었다.

“분위기가 워낙 좋아 현장에서 많이 즐겼다. 감독님은 작은 준비만 해가도 그걸 확장시켜 주셨다. 재미있게 촬영을 했다. 전에도 어필 할 부분이 있으면 망설이지는 않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유독 소통을 많이 했다. 감독님이 나와 나이가 비슷하다 보니 같은 삶을 살았고, 생각이 잘 통했던 것 같다.”

이런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육갑과 더욱 닮아갔다. 최귀화는 육갑을 ‘연기’하지 않고, 평소 모습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애썼다.

“캐릭터가 구체적으로 잘 쓰여 있었다. 감독님과 많이 이야기도 하면서 내가 육갑을 연기하는 게 아닌, 나로서 육갑을 표현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육갑은 그냥 최귀화라고 생각하고 접근했다. 연기가 아닌, 그냥 최귀화가 까불 때의 모습이었다.” 

②편으로 이어짐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