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 박재욱 대표(자료=연합뉴스)
쏘카가 10대 소녀 성폭행 사건을 막을 길을 차단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피해 아동 부모는 쏘카의 늑장대응만 아니었어도 막을 수 있는 범행이었다고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경찰의 정보공개 요구를 거부한 주체가 쏘카 본사가 아니라 외부 인력으로 운영되는 고객센터였던 것으로 드러나 기업 운영의 허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쏘카 박재욱 대표는 10일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이용자의 범죄행위에 대한 경찰 수사 협조 요청에 신속하게 협조하지 못한 회사의 대응과 관련해 피해자와 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공식 사과문을 냈다. 해당 사과문은 회사 홈페이지에는 게재되지 않았다.
지난 6일 30대 남성 A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게 된 13세 초등생 B양을 납치해 성폭행했다. 범죄에는 쏘카 차량이 이용됐다. 당시 경찰은 B양의 부모로부터 실종신고를 접수 받고 용의자가 탄 차량 번호를 추적하기 위해 쏘카 측에 정보 제공을 요청했다.
그러나 쏘카 측은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영장 없이는 가르쳐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결국 경찰은 다음날 저녁에야 영장을 발부 받아 쏘카 측에 정보 제공을 재요청했다. 그런데도 쏘카 측은 담당자가 부재중이라며 다음날인 8일 오전에서야 용의자 정보를 제공했다.
피해자 B양으니 이미 7일 오후 용의자로부터 벗어나 집으로 돌아온 상황이었다. 쏘카의 늑장대응에 아동 성폭행을 막을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다.
특히 쏘카 측이 주장했던 ‘영장이 있어야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말은 규정에도 어긋났다. 쏘카 내부 규정에는 영장이 없더라도 위급한 경우 경찰 공문을 받으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지침이 있다.
쏘카 측은 당시 고객센터 직원이 오판해 초기 대응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경찰 또한 당시 적극적으로 정보제공을 요청하진 않았다고 해명했다. 피해자 부모 또한 경찰의 초동 수사 미흡을 지적하고 있다. 실종 장소의 CCTV와 의심 차량 등의 정보를 모두 전달했는데도 용의자 차량을 찾는데 6시간이 넘게 소요됐다.
논란이 커지자 쏘카 측은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쏘카 박재욱 대표는 사과문을 통해 “이번 일을 계기로 차량을 이용한 범죄행위에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며 "개인정보보호와 현장 범죄 상황의 수사 협조에 대한 대응 매뉴얼을 책임 있는 전문가와 협의해 재정비하고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쏘카의 고객센터 운영 방식에서도 나타났다. 쏘카 홈페이지에 안내된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면 고객센터로 연결된다. 당시 경찰도 이 고객센터 번호로 연락을 취했는데 엄중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본사로 넘기지 않고 고객센터 선에서 정보 공개를 거부한 것이다.
해당 고객센터는 쏘카가 직접 운영하는 게 아니라 외부 업체를 이용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부실 대응 사태 또한 이 같은 시스템 허점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쏘카 관계자는 “현재 진상조사 중으로 부실대응에 대해선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경찰에 정보공개를 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일관한 부실대응 직원에 책임을 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현재 조사 중인 사건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