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갱년기는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갱년기는 여성의 생식 기능이 소실하는 징후로 나타나는 월경폐지의 시기를 말한다. 난소의 기능으로 보아 여성으로서의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이행하는 시기를 말한다. 갱년기의 연령은 체질 ·영양상태 ·분만의 횟수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40~55세로 본다.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폐경기가 약간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감소하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안면홍조, 불면증, 우울증, 관절통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우선 꾸준한 운동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채소와 과일, 단백질 등 영양성분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갱년기는 개개인마다 나타나는 증상과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별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
한의원에서는 체열이 불균형해진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내부 장기 기능이 저하되면서 전반적인 신체 컨디션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고 본다.
이때 공진단을 처방해 체내 열을 서로 소통시켜 면역력 증진, 체력 향상, 원기 충전 등을 도모한다.
경희장원한의원 장영용 원장
경희장원한의원 장영용 원장은 “이때 일부의 경우 약효를 배가시킬 목적으로 공진단 섭취량을 대폭 늘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임의로 복용량을 조절할 경우에는 내부 장기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며 “공복 상태에서 1~2환을 섭취하는 복용법을 지켜 나가는 것이 효능에 도움이 된다. 공진단을 구입하는 경우, 많은 사례에서 가격에만 초점을 맞추고 각각의 명방들을 비교하는데, 중요한 것은 각 재료의 품질과 함량이다. 안전을 위해 이를 고려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