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현 현대자동차그룹 첨단차플랫폼본부(AVP) 사장이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에서 향후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중국 전기차 업체 BYD가 자율주행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공개하고, 선도업체 테슬라 추격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8일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에서 오는 2027년까지 레벨2+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자사 양산차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레벨2+는 부분 자동화 단계인 레벨2에 인공지능과 센서 기술을 추가한 것으로, 핸들에서 손을 떼도 운전이 가능한 레벨3의 직전 단계로 분류된다. 현재 일부 차종에나마 레벨2+를 적용 중인 건 테슬라의 FSD(풀 셀프 드라이빙) 정도다.

현대차그룹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 '아트리아AI'를 적극 활용해 테슬라의 자율주행 성능을 따라잡는다는 방침이다. '아트리아AI'는 자동차에 달린 카메라와 레이더로 도로 상황을 스스로 분석하는 것이 특징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AI 딥러닝 기술로 학습해 성능을 지속 고도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의 핵심인 자율주행AI, OS(운영체제), LLM(거대언어모델)을 구축한다는 게 현대차그룹의 목표다. 이외에도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고도 자동화'에 해당하는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구현에 필수적인 항목들을 플랫폼화한 데 이어, 자율주행기업 웨이모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아이오닉 5의 자율주행 방안을 연구하는 중이다.

현대차그룹 SDV 개발을 총괄하는 송상현 현대차·기아 AVP(차세대모빌리티플랫폼) 사장은 "현대차그룹 진화의 핵심은 소프트웨어"라며 "단순히 차를 만드는 것을 넘어 모빌리티 테크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BYD코리아)

중국 전기차 기업 BYD도 자율주행 시대를 앞두고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BYD는 AI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 눈'을 전 차종에 탑재할 계획이다.

'신의 눈'은 BYD가 자체 개발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으로, 향후 중국의 대표 AI '딥시크'를 해당 시스템에 적용해 성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자율주행 기능을 전 차종에 기본 무료로 제공하면서 테슬라의 유료 소프트웨어 정책과 차별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BYD는 현재 내수시장에서의 압도적인 인기와 기술력을 앞세워 해외 시장 진출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5분 충전으로 400km를 달릴 수 있는 '수퍼e플랫폼'을 선보인 바 있다. 이 플랫폼은 오는 4일 일산 킨텍스서 개막하는 '서울모빌리티쇼' BYD 전시관에서 체험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는 두 기업의 행보가 테슬라의 독주 체제를 견제하는 동시에 자율주행기술의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테슬라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자체 기술 FSD를 개발한 뒤 고속도로자율주행, 자동주차, 무인단거리호출 기능 등을 차량에 탑재했으며, 올 하반기부터는 로봇택시 상용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왕촨푸 BYD 회장은 지난 29일 중국 전기차 포럼에서 "전기차 산업의 후반전 변혁 속도는 변화 속도는 매우 빠를 것"이라며 "피처폰이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는데 2년이면 충분했듯, 대략 2~3년만 있으면 자율주행차의 시대가 도래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