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전경 (사진=삼성전기)

삼성전기는 이번 2분기 매출 2조7846억원, 영업이익 213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 영업이익은 1% 증가했다.

삼성전기는 비우호적인 환율 상황에서 고부가제품으로 체질 개선을 통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AI·전장·서버 등 고부가제품 수요 증가로 산업·전장용 MLCC 및 AI가속기용 FCBGA 등 공급을 확대해 실적 개선을 이뤘다는 설명이다.

삼성전기는 3분기 국내외 고객의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로 IT용 부품 및 AI 서버·네트워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 산업·전장용 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컴포넌트 2분기 매출은 산업·전장 및 IT 등 전 응용처에 MLCC 공급이 증가해 전년 동기보다 10%, 전 분기보다 5% 늘어난 1조2807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차 성장 및 ADAS 기능 보급 확대와 AI서버 및 네트워크 수요 증가로 고부가 제품 공급이 늘어났다.

하반기는 빅테크 기업들의 AI서버 투자 확대 기조가 지속되고 ADAS의 성능 향상으로 견조한 산업·전장용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기는 AI서버 및 네트워크용 MLCC 시장에서 신규 거래선 확대에 집중하고, 고용량·고압 등 전장용MLCC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패키지솔루션 부문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및 전 분기보다 13% 증가한 5646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 서버용 FCBGA 및 ARM프로세서용 BGA 등 고부가 패키지기판 공급을 확대했고, 2분기부터 본격 공급을 시작한 AI가속기용 FCBGA도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광학솔루션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3% 증가한 9393억원을 기록했다. 주요거래선향 플래그십 카메라모듈의 계절적 수요 감소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줄었지만, 해외거래선향 고성능 카메라모듈과 전천후 카메라모듈, 하이브리드 렌즈를 적용한 인 캐빈(실내용) 카메라모듈 등 전장용 제품 공급을 확대해 전년 동기보다 매출이 늘었다.

삼성전기는 3분기 IT용 고사양 카메라모듈을 적기 공급하는 한편, 전천후 카메라모듈 및 인 캐빈 카메라 등 고신뢰성 전장용 카메라모듈 공급을 확대하고, 로보택시 및 휴머노이드 등 신규 응용처에 대해서도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며 고객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