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과 의료 AI 산업 육성책을 발표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기대와 실망이 공존하고 있는 분위기다. AI의료기기나 소프트웨어 같은 디지털헬스케어 제품을 개발하거나 유통하는 기업들의 수혜가 기대되지만 타 산업에 비해 구체적인 목표가 없어 아쉽다는 반응도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중 보건의료 산업-정책에 관련된 내용은 5가지로 ▲의료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로 전환 ▲지역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 ▲일차의료 기반의 건강·돌봄으로 국민 건강 증진 ▲국민 의료비 부담 완화 등이다.
특히 100조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에서 첨단혁신산업 펀드를 만들어 바이오 지원을 산업군에 포함한 것이 눈에 띈다. 임상·허가 절차의 네거티브 규제 전환, 첨단 GPU 인프라와 AI 인력 양성 지원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국정위는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는 인공지능·바이오 등 미래 신산업 육성으로 저성장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통해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이끌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재 루닛과 뉴로핏 등 다수의 기업들이 자가공명영상(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의 자료를 바탕으로 환자 진료하거나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일부 제품은 해외에 판매하고 있다. 또한 대웅제약, 동아ST 등 전통제약사들 역시 AI의료기기나 소프트웨어를 미래먹거리로 선점하고 적극 도입하고 판매하고 있어 이를 활성화 하는 정책이 나온다면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 발표에 구체적인 목표치가 없어 아쉽다는 반응도 존재한다. 반도체의 경우 2030년 수출 1700억달러(약 235조2300억원) 달성, 자동차는 '2030년 세계5위 생산국 도약' 등 구체적인 지표가 있었다. 업계는 정책이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면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균형발전과 산업 생태계 확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구체적인 수치 목표와 실행 로드맵이 없으면 정부의 바이오 육성 정책은 선언적 구호로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산업을 국가핵심사업으로 놓고 지원정책들을 발표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며 “다만 이러한 선언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는 무리가 있어 장기적인 투자책과 구체적인 실행을 담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산업이 제약바이오산업인데 정권이 바뀔때마다 알맹이 없는 육성책들만 발표되는 상황"이라며 "그 어떤 사업보다 장기적인 관점과 투자가 필요한 산업이 제약바이오산업이라 정부의 움직임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