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건설부문이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안전보건 교육'을 본격 실시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지난 5일 천안아산역 한화포레나 현장에서 대면 교육과 전 현장 화상 교육을 병행해 외국인 근로자 전반을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외국인 안전문화 지도사의 강의를 경청하고 있다. (사진=한화 건설부문)

이번 안전보건교육은 외국인 근로자 대상이다. 외국인 근로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언어 장벽과 안전 인식 부족으로 인한 사고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건설사들의 사고도 외국인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화 건설부문은 한국창직역량개발원과 협업해 외국인 안전문화 지도사를 초청, 국적별 맞춤형 교육을 정례화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교육은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출신 국가별 안전문화 지도사가 직접 교육을 진행했다. 통역 과정 없이 더 높은 몰입도와 전달력을 확보했다. 이는 단순 전달이 아닌 공감과 신뢰 기반의 교육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한화 건설부문은 국적별 '안전보건 리더'를 선발해 T.B.M과 안전교육 보조 역할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리더에게는 현장 포상은 물론 TOPIK 응시료 및 합격 포상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자발적 안전관리 역량도 키우고 있다.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떨어짐·맞음·부딪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픽토그램도 부착 중이다. 이번 교육에서도 이를 활용한 시각 중심 교육이 함께 이뤄졌다. 언어 이해가 어려운 근로자들도 시각적으로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조치다.

'떨어짐·맞음·부딪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픽토그램. (사진=한화 건설부문)

또한 다국어 기반 '근로자 안전신문고'도 운영 중이다. QR코드가 부착된 안전모와 현수막을 통해 10개 국어로 간편하게 위험 요소를 신고할 수 있다. 참여 근로자에게는 현장 및 본사 포상이 주어져 자율적인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김윤해 안전환경경영실장은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관리는 언어 소통의 한계를 넘어서는 실질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맞춤형 교육과 소통 시스템을 통해 더욱 안전한 건설현장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