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사진=연합뉴스
이찬진 금감원장이 가상자산 업계 CEO 간담회를 연 30일, 가상자산 업계에 진풍경이 벌어졌다. 신임 금감원장과 업계 CEO가 처음 만나는 간담회 날, 업계 2위인 빗썸은 초대를 받지 못했고 업계 3위인 코인원은 압수수색을 당했다.
이날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는 코인원이 자금 270억원을 무담보로 지배회사에 대여한 것을 두고 업무상 배임 혐의로 코인원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에 대해 코인원 측은 "코인원 압수수색 건은 지난 3월 금감원 종합검사에서 지적됐던 사안 중 하나로, 종합검사 당시 금감원 측에 충분히 소명을 했던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코인원 측에 따르면 해당 사안은 2017년 옐로모바일과의 소송 건으로 코인원이 피해자로서 최종 승소한 내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금감원 요청(고발)에 따라 남부지검이 압수수색을 진행한 사안으로 코인원은 당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 직후 이 금감원장은 코인원의 차명훈 의장을 따로 불러 독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인원 입장에선 CEO가 금감원 간담회에 참석한 바로 당일, 그 자리에서 압수수색 통보를 받은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 됐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초대받지 못한 빗썸에 대한 당국 측 설명도 묘하다.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당국 참석자들 사이에선 "자리가 부족해 빗썸을 초대하지 못했다"는 웃지 못할 해명이 흘러나왔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업계 안팎에선 새 정부에서도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기강잡기'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가상자산 업계 한 관계자는 "빗썸을 부르지 않고 코인원을 고발한 것은 금감원이 고분고분하게 말을 잘 듣지 않는 사업자들에 강하게 경고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놨다.
앞서 빗썸은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와 관련해 신규 영업을 중단하라는 금융당국의 행정지도에 반해 해당 서비스를 이어가 구설에 오른 바 있다.
일각에선 가상자산 업계를 두고 금융당국과 검찰 측이 힘겨루기를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금감원장이 업계 대표를 상견례 하는 당일, 오래 전부터 이어 온 사안을 두고 검찰이 압수수색하는 모습은 양 기관간 불협화음 아니냐는 추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도 검찰도 조직이 해체 수준의 기로에 놓여있는만큼, 가상자산 세력권을 두고 금융당국과 검찰 측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고 조심스럽게 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