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MVNO) 이용자들이 실제 지출하는 통신요금이 이통3사(MNO)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요금 경쟁력에 힘입어 20대 이하 젊은 층의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동통신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7일 알뜰폰 이용자들의 구매 행태와 요금을 통신3사와 비교한 '이동통신 기획조사'를 발표했다. 지난해 9~10월 두달동안 약 4만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료=컨슈머인사이트)

이번 조사애서 휴대폰 이용자들의 월 이용요금(단말기 할부금 제외)은 2만4700원이었다. 이통3사 평균 4만5900의 절반 수준(54%)이다.

알뜰폰 이용자들은 알뜰폰을 선택하는 최대 이유로 저렴한 요금을 들었다. 핵심구매요소(복수응답) 질문에 ▲저렴한 월 요금(65%) ▲나에게 맞는 요금제(40%)를 많이 응답했다. 통신3사 이용자들이 높은 비중을 보인 ▲결합할인 혜택 ▲멤버십 혜택 등은 구매 결정시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또, 통신3사 가입자 대비 자급제폰 구입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통신사를 통해 휴대폰을 구입할 경우 지원금, 단말 할인 등을 받기 위해 특정 요금제 이상을 써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가 요금제의 경우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 게다가 알뜰폰 통신사는 비슷한 조건의 요금제라도 금액이 통신3사의 절반 수준으로 저렴하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단말 할인과 저렴한 요금제를 저울질한 결과, 자급제폰을 구입해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료=컨슈머인사이트)

알뜰폰의 인기가 높아지며 이용자 연령대도 젊어지고 있다. 10대, 20대 이용자는 2017년 12%에서 지난해 22%로 늘었다. 20대 가입자 비중은 같은 기간 11%에서 18%로 크게 증가했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알뜰폰은 휴대폰 이용량이 적은 고연령층을 위한 통신사라는 인식이 강했다"면서 "단말기 가격의 지속적 상승과 통신3사의 5G 요금제 위주 마케팅으로 통신비 부담이 증가하자, 젊은 층에게 알뜰폰이 합리적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