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과 배민 등 유통업계에서는 퀵커머스 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사진=쿠팡) 유통업계의 대세로 자리잡은 퀵커머스에 대한 정부의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다. 골목상권에 위협이 된다고 소상공인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업계도 정부의 방침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며 내년 3월 최종 보고서를 낼 방침이다. 이후 관련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퀵커머스는 유통업계에서 핫한 키워드다.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오는 2025년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공룡들은 퀵커머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FC)를 마련 중이다. 오프라인 기반 대기업들도 편의점 등을 물류센터로 활용해 빠른 배송의 거점으로 삼고 있다. 여기에 플랫폼과 제휴하거나 자체 배달망을 확대해 배달 네트워크도 강화했다. 배달의민족 B마트, 쿠팡이츠마트, GS25 우리동네 딜리버리 등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에는 현대백화점, 홈플러스, 롯데쇼핑 등도 퀵커머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정부가 퀵커머스 관련 규제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따른 지적 때문이다. 퀵커머스가 취급하는 품목이 기존 슈퍼마켓이나 식료품점 제품과 대부분 겹치는 것도 이같은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달 초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온라인 쇼핑 플랫폼과 배달앱, 유통대기업들이 퀵커머스 서비스에 경쟁적으로 진출하고 있다”며 “도심 외곽에 물류창고가 도심으로 들어오고 이제는 주택가 골목까지 물류센터가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의원은 퀵커머스 등장이 과거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골목상권 침투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퀵커머스는 온라인이나 모바일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이지만 특정 권역에서 근거리 배송한다는 점에서 일반 소매업종과 특성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대형유통업체들의 물량경쟁, 품목경쟁, 배달료경쟁 등 과열경쟁으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손해를 감수하고 도심 물류센터를 늘리고 배달 경쟁을 하는 것이 유통업계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 의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쿠팡 시장침탈 저지 전국 자영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조만간 동반성장위원회에 퀵커머스를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생계형 적합업종이 되면 대기업들은 3년간 해당 사업에 대해 인수와 개시, 확장 자제를 권고받거나 금지된다. 이에 대해 유통업계는 관련 규제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퀵커머스는 기존 수요 잠식이 아닌 신규서비스 창출이라는 입장이다.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 "편의점 매출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계속 증가했다. B마트 서비스 출시가 시장 잠식으로 이어졌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B마트는 비싼 배달비를 주고서라도 즉시 받고 싶어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통에 대한 패러다임이 많이 변했다. 업계에서 신사업 확장을 위한 시도를 정부에서 과도하게 규제하는 느낌이 있다. 소상공인과의 상생도 중요한 만큼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마트·쿠팡이츠마트 등 퀵커머스, 또 발목 잡히나...정부 규제 움직임

산업부, 다음달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용역 발주
국정감사서 퀵커머스가 골목상권 위협한다는 지적 일어

심영범 기자 승인 2021.10.25 11:03 의견 0

쿠팡과 배민 등 유통업계에서는 퀵커머스 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사진=쿠팡)

유통업계의 대세로 자리잡은 퀵커머스에 대한 정부의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다. 골목상권에 위협이 된다고 소상공인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업계도 정부의 방침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며 내년 3월 최종 보고서를 낼 방침이다. 이후 관련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퀵커머스는 유통업계에서 핫한 키워드다.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오는 2025년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공룡들은 퀵커머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FC)를 마련 중이다. 오프라인 기반 대기업들도 편의점 등을 물류센터로 활용해 빠른 배송의 거점으로 삼고 있다.

여기에 플랫폼과 제휴하거나 자체 배달망을 확대해 배달 네트워크도 강화했다. 배달의민족 B마트, 쿠팡이츠마트, GS25 우리동네 딜리버리 등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에는 현대백화점, 홈플러스, 롯데쇼핑 등도 퀵커머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정부가 퀵커머스 관련 규제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따른 지적 때문이다. 퀵커머스가 취급하는 품목이 기존 슈퍼마켓이나 식료품점 제품과 대부분 겹치는 것도 이같은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달 초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온라인 쇼핑 플랫폼과 배달앱, 유통대기업들이 퀵커머스 서비스에 경쟁적으로 진출하고 있다”며 “도심 외곽에 물류창고가 도심으로 들어오고 이제는 주택가 골목까지 물류센터가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의원은 퀵커머스 등장이 과거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골목상권 침투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퀵커머스는 온라인이나 모바일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이지만 특정 권역에서 근거리 배송한다는 점에서 일반 소매업종과 특성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대형유통업체들의 물량경쟁, 품목경쟁, 배달료경쟁 등 과열경쟁으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손해를 감수하고 도심 물류센터를 늘리고 배달 경쟁을 하는 것이 유통업계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 의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쿠팡 시장침탈 저지 전국 자영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조만간 동반성장위원회에 퀵커머스를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생계형 적합업종이 되면 대기업들은 3년간 해당 사업에 대해 인수와 개시, 확장 자제를 권고받거나 금지된다.

이에 대해 유통업계는 관련 규제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퀵커머스는 기존 수요 잠식이 아닌 신규서비스 창출이라는 입장이다.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 "편의점 매출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계속 증가했다. B마트 서비스 출시가 시장 잠식으로 이어졌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B마트는 비싼 배달비를 주고서라도 즉시 받고 싶어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통에 대한 패러다임이 많이 변했다. 업계에서 신사업 확장을 위한 시도를 정부에서 과도하게 규제하는 느낌이 있다. 소상공인과의 상생도 중요한 만큼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