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직원들이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를 활용한 코팅제를 시공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롯데건설)
롯데건설이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대신 이산화탄소로 굳히는 시멘트를 현장에 적용해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롯데건설은 7일, 정부가 추진하는 국책연구과제에 참여해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현장에 시범 적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롯데건설은 국책연구과제인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연구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는 미국, 캐나다 등 해외에서 선도적으로 개발됐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국산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약 13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이 개발한 기술은 일반 시멘트 대비 약 200℃의 낮은 온도로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다. 석회석 사용량도 30% 절감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에 의해 굳는 기존 시멘트와 달리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 친환경 건설재료로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멘트에 혼합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롯데건설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