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건설이 AI 기술로 입주 전 과정을 통합해 관리하는 플랫폼 '채들'을 선보였다. 실시간 하자 보수 관리 데이터 기반 품질 개선으로 현업 부서 효율성을 높인다.

호반써밋 현장 직원들이 'AI 채커'를 사용해 점검하는 모습. (사진=호반건설)

호반건설은 AI 기반 하자관리 통합 플랫폼 '채들'을 신규 입주현장에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채들'은 하자 접수부터 보수까지 입주 현장의 전 과정을 한 번에 관리 가능한 통합 플랫폼이다. 언어뿐만 아니라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모달 AI 기술인 'AI 채커(AI Checker)'가 탑재됐다. '채커'는 호반건설 오픈이노베이션팀과 홈테크 스타트업 '이음'의 공동개발을 통해 탄생했다.

관리자가 현장에서 하자를 촬영하면, AI가 이미지를 인식해 자동으로 하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전문 업체에 전달해 보수 작업이 신속하게 이뤄진다. 관리자는 플랫폼을 통해 하자 보수 진행률과 처리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후 입주민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업 부서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하자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하자 처리 프로세스 개선과 품질 향상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현장에 최신 기술을 도입해 품질 관리를 수월해질 수 있도록 개선될 것"이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주거 통합 앱 '호반 온(HOBAN ON)'을 개발 중이며, 향후 AI 기술을 접목한 입주민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호반건설은 스마트 건설기술 고도화를 위해 다양한 신기술을 현장에 적용 중이다. 드론 전문업체 ‘코매퍼’와 협업해 시공 전 주요 결함을 사전에 탐지하는 등 AI 영상 분석 기술을 현장 관리에 적용했다. 지난 5월에는 ‘호반써밋 인천검단 AB19블록’에서 외뵥 도장 로봇의 파일럿 테스트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