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파트 최초로 로봇이 자동차를 주차해주는 시대가 열린다.

HDC현대산업개발은 HL로보틱스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서울 송파구에서 추진 중인 송파한양2차 아파트 재건축사업에 AI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를 도입한다고 2일 밝혔다.

HDC현대산업개발이 HL로보틱스와 협업해 송파한양2차에 적용할 AI 기반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 (사진=HDC현대산업개발)

'파키'는 자율주행 로봇 기술에 기반한 첨단 주차 솔루션이다. 차량을 아파트 단지 입구의 지정 구역에 세우기만 하면 로봇이 차량 하부로 들어가 바퀴를 들어 올리고 빈 주차 공간으로 옮겨 자동으로 주차해준다. 출차 시에는 전용 앱이나 세대 월패드를 통해 호출하면 차량을 입구로 가져다주는 방식이다.

기존의 발렛파킹 서비스를 로봇이 완전히 대체하는 형태로 주차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나 노약자에게 특히 유용할 전망이다. 또 주차 중 발생하는 문콕이나 접촉사고의 위험을 원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의성이 동시에 높아진다.

공간 활용도도 뛰어나다. 운전자의 승하차 공간이나 회차 공간이 필요 없어 기존 주차장 대비 약 30% 이상의 공간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확보된 공간은 커뮤니티 시설이나 녹지 공간 등 입주민 편의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HL로보틱스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서울 송파구에서 추진 중인 송파한양2차 아파트 재건축사업에 AI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를 도입한다고 2일 밝혔다. (사진=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이번 기술 도입을 시작으로 송파한양2차를 '스마트 AI 랜드마크 단지'로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앞서 AI 홈에이전트, 헬스케어 플랫폼, 웰니스 프로그램 등 첨단 기술 기반의 주거 서비스를 계획해 온 가운데, AI 주차로봇 시스템이 도입되며 한층 미래지향적인 단지로의 변신에 속도가 붙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HL로보틱스와의 협업을 통해 송파한양2차를 미래 주거기술의 선두주자로 만들고자 한다"며 "AI 자율주행 주차 시스템으로 입주민에게 차별화된 주거 가치를 제공하고 국내 주거문화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HL로보틱스의 주차로봇 '파키'는 CES 등 국내외 전시회를 통해 기술력을 선보였다. 최근 다양한 건물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며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명해보이고 있다. 이번 협약은 국내 아파트 단지 최초로 대규모 상용화되는 사례다. 이에 AI 기반 스마트 주거 시스템의 본격 상용화가 확산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