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대책 이후 안정 흐름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시장에선 강남과 한강벨트 중심의 오름폭이 오히려 확대되며 정책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올 11월 3주(11월17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상승폭이 소폭 확대된 0.07%를 기록했다. 수도권도 0.13%, 서울은 0.20%로 전주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및 관련 추이 (자료=한국부동산원)
■ 강남·한강벨트 중심으로 상승 폭 확대…경기·인천 등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지속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특히 한강벨트 지역에서 두드러진 모습이다.
성동구는 행당·성수동 중소형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전주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용산구도 이촌·도원동 주요 단지의 강세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송파구도 잠실과 방이동 대장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더 뛰었다. 이 흐름은 강남구, 양천구, 동작구, 영등포구 등 주요 지역으로 이어지며 서울 전반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거래량이 많지 않음에도 일부 선호 단지에서 상승 계약이 이어지면서 서울 전체의 상승 흐름이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외곽에서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경기 지역은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되며 분당, 용인 수지, 의왕 등 주요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규제지역인 과천과 부천 오정구는 약세를 보이면서 규제 여부에 따른 시장의 차별화가 두드러졌다.
인천도 상승세가 유지됐다. 송도, 청라, 가좌, 중산동 등 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에서 매수세가 꾸준히 이어졌고, 지방 역시 울산·부산·세종 등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보였다.
전세시장도 매물 부족이 이어지며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전국 전세가격은 0.08% 상승하며 전주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수도권은 더 올랐다. 서울은 0.15% 상승하며 역세권·학군지를 중심으로 매물이 빠르게 소진되는 흐름이 뚜렷했다.
서초, 송파, 강동, 용산 등 서울 핵심 지역의 전세가격 상승률이 높았고, 인천도 청라·송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하남, 영통, 구리 등이 오름폭을 키우며 수도권 전반의 전세 부담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