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 (사진=연합뉴스)
과기부와 기후부가 AI 시대를 앞두고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먼저 AI 데이터센터 등을 위한 전력 공급을 시급한 과제로 바라보고, 양 부처 및 업계가 참여하는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인공지능(AI) 대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과 이호현 기후부 2차관 및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엔비디아의 첨단 GPU 26만장을 확보하는 등 AI 인프라 투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AI 산업 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등에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양 부처는 AI를 활용한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AI 데이터센터 구축·확산 등 AI·에너지 관련 정책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또 AI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력 공급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판단했으며, 이를 위해 ▲AI데이터센터 비수도권 이전 촉진 ▲분산에너지 특구 활성화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점검 방향 ▲전력 관련 규제 개선 ▲글로벌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양 부처는 향후 AI, 전력, 탄소중립 등 정책 추진과정에서 긴밀하게 소통할 계획이다. 여기에 실무급부터 차관급까지 다양한 형태 소통채널로 정책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업계도 함께 참여하는 AI·에너지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은 "AI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며 "AI 인프라가 적시에 구축될 수 있도록 양 부처가 원팀이 돼 협업하고 AI가 탄소 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