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중랑구 중화동 329-38번지 일대 모아타운의 사업 기간을 기존 9년에서 7년으로 앞당기며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속도를 높인다. 서울시는 중화동 모아타운을 강북권 공급 활성화를 위한 선도 모델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LTV 축소로 이주난 우려가 있다”며 “유예나 예외가 필요하다”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 중랑구 중화동 329-38번지 일대 모아타운 아파트 단지 조감도 (사진=서울시)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중화동 모아타운은 2023년 8월 대상지 선정 후 지난해 11월 관리계획이 승인·고시됐다. 이달 17일 사업시행계획 확정을 위한 통합심의를 통과하며 사업이 본격 추진 단계에 들어섰다.

이 구역은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돼 용적률 300%, 최고 35층 규모의 2801가구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시는 용도지역 상향과 용적률 완화, 통합심의 절차의 신속 처리 등을 적용해 선정에서 통합심의까지 걸리는 시간을 평균 4년에서 2년3개월로 절반 가까이 줄였다.

서울시는 이 과정에서 사업성 개선 효과도 강화했다. 조합원 분담금 경감을 위해 올해 8월 발표한 모아주택 사업성 보정 계수를 중화동 사업에 적용하기로 했다. 남은 사업시행계획 인가·이주·착공 단계도 집중 관리해 2030년 준공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현장 방문에서 “10·15 대책으로 담보인정비율(LTV)이 40%까지 낮아졌고 경우에 따라 0%도 적용될 수 있어 이주를 준비하는 주민들의 어려움이 크다”며 “LTV 규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하거나 예외를 인정해 대출이 가능하도록 국토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중화동 사례를 바탕으로 강북권 모아타운 전반의 공급 속도를 높여 노후 주거지 정비와 주택 공급 안정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