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매각 관련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와 하림 컨소시엄 간의 협상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7일 최종 결렬됐다. 사진은 HMM 컨테이너선 (사진=HMM) HMM 매각이 결국 무산됐다. '예고된 결렬'이란 얘기도 나온다. 매각하는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와 매수하는 하림·JKL파트너스 컨소시엄 간 의견차가 처음부터 커 간격을 좁히기 어려웠다. HMM은 계속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체제에 있으면서 새로운 주인을 찾아야한다. 해운업황 등을 감안하면 기간이 길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7일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팬오션·JKL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주식매매계약 및 주주간계약에 대한 협상을 7주간 진행했지만, 일부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협상은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다. 산은과 해진공 등은 하림 측과 HMM 매각 관련 협상을 밤 12시까지 이어갔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앞서 하림 컨소시엄은 지난해 12월, HMM 지분 57.9% 인수를 위해 6조4000억원을 적어내 동원그룹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산은과 해진공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일부 사항'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산은 관계자는 “협상 과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산은과 하림 측은 HMM 매각 이후 경영 주도권을 놓고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림 측은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 지분을 매각하고 나면 영구채만 보유한 최대 채권자가 되기 때문에 경영 개입을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산은 측은 HMM이 국가 해운산업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크기 때문에 매각 후에도 일정 부분 경영 감시가 필요하다고 맞섰다. 이와 관련해 해진공과 해양수산부가 하림 측의 경영권 관련 요구사항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 측은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제한도 문제였다. 하림 측은 투자금 회수가 필수적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JKL의 특성을 고려해 5년간 지분 매각 제한에서 JKL을 빼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해진공은 이를 반대했다. 다시 하림 측은 JKL의 지분 매각 제한 기간을 3년으로 줄여줄 것을 마지막으로 제안했다. 해진공은 이 역시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했고, JKL을 컨소시엄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역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 측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면서 협상은 최종 결렬됐다. HMM 매각 작업이 무산되면서 산은과 해진공은 이 회사의 지분 57.9%를 그대로 보유하게 됐다. 산은과 해진공은 올해와 내년에 차례로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 시점이 도래하는 1조6800억원 규모의 영구채도 갖고 있다. 산은과 해진공은 이 영구채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산은과 해진공은 HMM의 재매각에 나서야 하지만 아직 시점을 확정하지 못했다. 매각 적기를 놓쳤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해운업계의 영업 환경이 변했기 때문이다. 세계 2위 선사인 머스크와 5위 하팍로이드는 내년 2월부터 ‘제미니 동맹’을 새롭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HMM이 속한 해운 동맹인 ‘디얼라이언스’에서 하팍로이드가 빠지고 아시아권 선사들만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과거와 같이 출혈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해운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HMM 매각 '예고된' 결렬…경영권·사모펀드 지분매각 등 의견차

마지막날 본계약 최종 불발…매각 다시 추진해야하나 업황 바뀌어

손기호 기자 승인 2024.02.07 09:44 | 최종 수정 2024.02.07 10:02 의견 0
HMM 매각 관련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와 하림 컨소시엄 간의 협상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7일 최종 결렬됐다. 사진은 HMM 컨테이너선 (사진=HMM)


HMM 매각이 결국 무산됐다. '예고된 결렬'이란 얘기도 나온다. 매각하는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와 매수하는 하림·JKL파트너스 컨소시엄 간 의견차가 처음부터 커 간격을 좁히기 어려웠다.

HMM은 계속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체제에 있으면서 새로운 주인을 찾아야한다. 해운업황 등을 감안하면 기간이 길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7일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팬오션·JKL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주식매매계약 및 주주간계약에 대한 협상을 7주간 진행했지만, 일부 사항에 대한 이견으로 협상은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다.

산은과 해진공 등은 하림 측과 HMM 매각 관련 협상을 밤 12시까지 이어갔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앞서 하림 컨소시엄은 지난해 12월, HMM 지분 57.9% 인수를 위해 6조4000억원을 적어내 동원그룹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산은과 해진공은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일부 사항'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산은 관계자는 “협상 과정의 내용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산은과 하림 측은 HMM 매각 이후 경영 주도권을 놓고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림 측은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 지분을 매각하고 나면 영구채만 보유한 최대 채권자가 되기 때문에 경영 개입을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산은 측은 HMM이 국가 해운산업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크기 때문에 매각 후에도 일정 부분 경영 감시가 필요하다고 맞섰다. 이와 관련해 해진공과 해양수산부가 하림 측의 경영권 관련 요구사항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 측은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제한도 문제였다. 하림 측은 투자금 회수가 필수적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JKL의 특성을 고려해 5년간 지분 매각 제한에서 JKL을 빼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해진공은 이를 반대했다. 다시 하림 측은 JKL의 지분 매각 제한 기간을 3년으로 줄여줄 것을 마지막으로 제안했다. 해진공은 이 역시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했고, JKL을 컨소시엄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역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 측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면서 협상은 최종 결렬됐다.

HMM 매각 작업이 무산되면서 산은과 해진공은 이 회사의 지분 57.9%를 그대로 보유하게 됐다. 산은과 해진공은 올해와 내년에 차례로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 시점이 도래하는 1조6800억원 규모의 영구채도 갖고 있다. 산은과 해진공은 이 영구채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산은과 해진공은 HMM의 재매각에 나서야 하지만 아직 시점을 확정하지 못했다. 매각 적기를 놓쳤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해운업계의 영업 환경이 변했기 때문이다. 세계 2위 선사인 머스크와 5위 하팍로이드는 내년 2월부터 ‘제미니 동맹’을 새롭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HMM이 속한 해운 동맹인 ‘디얼라이언스’에서 하팍로이드가 빠지고 아시아권 선사들만 남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과거와 같이 출혈 경쟁이 시작될 것으로 해운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