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작업자가 웨이퍼 원판 위 회로를 만드는 데 쓰이는 기판인 포토마스크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미국이 중국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확보를 막기 위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예상된다. 업계와 전문가는 HBM의 경우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고,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서 현 단계에선 우려사항이 아니라고 봤다. 다만, HBM뿐 아니라 고사양 메모리 범위까지 수출 통제를 확대할 수도 있어 이 점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HBM의 경우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을 하고 있어서 매출에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HBM은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미국의 규제안이 나오지 않아서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일 미국 정부가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대해 HBM을 중국에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2세대(HBM2) 이후 제품부터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달 말 규제안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미국 마이크론은 현재 중국에 제품 공급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수출 통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HBM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생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HBM의 경우 미국 수출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우려하지 않는 분위기다. 다만 상황을 지켜본다는 것은 HBM 외에 고사양 메모리까지 중국 수출에 대한 규제를 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반도체와 과학법이 중국의 AI 역량을 막으려는 것으로 3~4년 전에도 고급 메모리 제품에 대해서 규제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 바가 있다"며 "업계는 랜드나 서버용 SSD 제품까지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의 HBM 납품처가 거의 다 미국 엔비디아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HBM 규제가 우리 기업들의 매출에 큰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HBM 외의 고사양 메모리들에 대한 규제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봤다. 그는 "미국이 HBM 전체를 다 막을 것인지 아니면 초기 단계가 그래픽 GDDR 제품에서 구형 제품까지 막을 것인지를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최근 HBM 외에도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인 'GDDR(Graphics DDR)7'을 공개했다. GDDR7은 동영상이나 그래픽 처리에 특화된 그래픽 D램의 표준 규격을 말한다. 단순 그래픽 활용을 넘어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로 AI 분야 활용도가 높아 HBM뿐 아니라 GDDR 수요도 크게 늘고 있다. 경 연구위원은 "이런 제품들은 이미 단가가 많이 낮아져서 규제를 해도 매출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HBM이 D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무리 많아도 7% 미만으로 보고, 보통은 5% 이하로 보기 때문에 그 비중이 높지 않다"며 "다만 래거시 제품들이 가격이 워낙 많이 빠졌기 때문에 HBM에서 돈을 벌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말 규제안이 확정될 예정인 가운데, 미국의 중국 수출 통제는 10나노 초반대 D램이 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 연구위원은 "반도체지원법이 선단공정 파운드리와 메모리 제품에서 10나노 초반대 D램하고 128단 이상 첨단 낸드에 대한 생산 기반 확보였다"며 "지금 10단 초반 D램부터 EUV(극자외선) 노광장비가 들어가는데, 그게 수출 통제하는 기술 수준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미국 국립 표준원에서 국내에 메모리 생산 기술 수준을 제시한 적이 있다"며 "HBM과 관련된 내용은 10나노 초반 이하 D램으로 나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반도체 슈퍼사이클 시기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 증대를 막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선 경 연구위원은 "범용 제품으로 자동차의 휘발유에 빗댈 수 있기에, (한국 기업 경계는) 억측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美 "HBM, 중국에 팔지마"…삼성·SK에 불똥튈까?

미국 AI 반도체 수출 통제안, 이달말 나올 듯
업계 "HBM 대부분 미국 수출…현시점 우려 적어"
전문가 "HBM 외 고사양 메모리 규제도 예상돼"
"메모리 중 HBM 비중 5~7%…매출 영향은 크지 않아"

손기호 기자 승인 2024.08.02 11:20 | 최종 수정 2024.08.02 13:50 의견 0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작업자가 웨이퍼 원판 위 회로를 만드는 데 쓰이는 기판인 포토마스크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미국이 중국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확보를 막기 위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예상된다.

업계와 전문가는 HBM의 경우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고,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서 현 단계에선 우려사항이 아니라고 봤다.

다만, HBM뿐 아니라 고사양 메모리 범위까지 수출 통제를 확대할 수도 있어 이 점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HBM의 경우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을 하고 있어서 매출에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HBM은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미국의 규제안이 나오지 않아서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1일 미국 정부가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대해 HBM을 중국에 공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2세대(HBM2) 이후 제품부터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달 말 규제안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미국 마이크론은 현재 중국에 제품 공급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번 수출 통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HBM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생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HBM의 경우 미국 수출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우려하지 않는 분위기다. 다만 상황을 지켜본다는 것은 HBM 외에 고사양 메모리까지 중국 수출에 대한 규제를 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반도체와 과학법이 중국의 AI 역량을 막으려는 것으로 3~4년 전에도 고급 메모리 제품에 대해서 규제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 바가 있다"며 "업계는 랜드나 서버용 SSD 제품까지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의 HBM 납품처가 거의 다 미국 엔비디아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HBM 규제가 우리 기업들의 매출에 큰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HBM 외의 고사양 메모리들에 대한 규제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봤다.

그는 "미국이 HBM 전체를 다 막을 것인지 아니면 초기 단계가 그래픽 GDDR 제품에서 구형 제품까지 막을 것인지를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최근 HBM 외에도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인 'GDDR(Graphics DDR)7'을 공개했다. GDDR7은 동영상이나 그래픽 처리에 특화된 그래픽 D램의 표준 규격을 말한다. 단순 그래픽 활용을 넘어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로 AI 분야 활용도가 높아 HBM뿐 아니라 GDDR 수요도 크게 늘고 있다.

경 연구위원은 "이런 제품들은 이미 단가가 많이 낮아져서 규제를 해도 매출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HBM이 D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아무리 많아도 7% 미만으로 보고, 보통은 5% 이하로 보기 때문에 그 비중이 높지 않다"며 "다만 래거시 제품들이 가격이 워낙 많이 빠졌기 때문에 HBM에서 돈을 벌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말 규제안이 확정될 예정인 가운데, 미국의 중국 수출 통제는 10나노 초반대 D램이 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 연구위원은 "반도체지원법이 선단공정 파운드리와 메모리 제품에서 10나노 초반대 D램하고 128단 이상 첨단 낸드에 대한 생산 기반 확보였다"며 "지금 10단 초반 D램부터 EUV(극자외선) 노광장비가 들어가는데, 그게 수출 통제하는 기술 수준의 척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미국 국립 표준원에서 국내에 메모리 생산 기술 수준을 제시한 적이 있다"며 "HBM과 관련된 내용은 10나노 초반 이하 D램으로 나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반도체 슈퍼사이클 시기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 증대를 막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선 경 연구위원은 "범용 제품으로 자동차의 휘발유에 빗댈 수 있기에, (한국 기업 경계는) 억측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