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국토교통부 예산이 역대 최대 규모인 62조4000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올해 58조2000억원보다 4조2000억원(7.3%) 늘어난 예산이다. 공적주택 공급 확대와 안전 강화, 건설경기 부양, 균형발전, 미래 혁신 등에 중점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신임 장관 (사진=연합)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년 예산 중 기금은 38조2000억원, 예산은 24조2000억원으로 각각 7.8%, 6.7% 증가했다. 분야별로 보면 SOC(사회간접자본) 예산이 1조3000억원 늘어난 20조8000억원, 사회복지 분야는 3조원 늘어난 41조6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공적주택 공급 예산은 22조8000억원이다. 올해(16조5000억원)보다 크게 늘어나 19만4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지방 미분양 주택 5000가구 매입을 위한 5000억원도 포함됐다.

SOC 부문에선 GTX와 철도·도로, 신공항 등 주요 인프라 사업에 8조5000억원이 투입된다. GTX 예산은 올해 4067억원에서 4361억원으로, 새만금신공항은 632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확대됐다. 논란의 가덕도 신공항 관련 예산은 올해 1조원에서 내년 7000억원으로 줄었다.

안전 예산도 크게 늘었다. 특히 땅꺼짐(싱크홀) 예방 예산은 15억원에서 144억원으로 10배 가까이 증액됐다. 지반탐사 장비를 13대에서 32대로 늘리고 전국 지자체 지반탐사(4360㎞)를 지원한다.

지역 균형발전과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도 포함됐다. 지자체 자율편성 계정은 8000억원에서 1조3000억원으로 늘고, AI 시범도시 사업(40억원), 기후변화 산업단지 조성(10억원) 예산도 새로 편성됐다. 또한 AI 신기술 응용 시스템 상용화에 880억원, 국토교통 R&D 83개 분야에 총 5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