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6일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입주민 이주 없이 노후 공동주택을 신축 수준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주거개선 모델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를 공개했다.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입주민 이주 없이 노후 공동주택을 신축 수준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주거개선 모델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를 6일 공개했다.

이날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열린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현대건설은 “재건축 연한을 채우지 못했거나 각종 규제로 정비사업 추진이 어려운 단지에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신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더 뉴 하우스’는 ▲이주 없음(No Move) ▲절차 간소화(Easy Process) ▲2년 이내 완공(Within Two Years)을 목표로 한 ‘NEW’ 전략을 중심 가치로 삼는다.

이번 모델은 단순한 보수 공사를 넘어 외관·조경·커뮤니티 시설을 종합적으로 개편해 단지 전체를 신축급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구조물을 철거하지 않는 방식으로, 공사 구역과 생활 구역을 단계적으로 분리해 입주민이 일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사가 진행된다.

현대건설은 “입주민 동선을 분석해 공정을 설계하고, 유휴공간을 커뮤니티 시설로 재구성하며, 브랜드 기준에 따라 ‘힐스테이트’ 적용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재건축이 필요하지만 현실적 제약에 묶인 2000년대 준공 단지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 같은 무이주 리뉴얼 방식이 새로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건설 리뉴얼 신사업 더 뉴 하우스를 통해 바뀌게 될 삼성동 힐스테이트 2단지 조경 조감도 (사진=현대건설)

첫 적용 대상은 삼성동 힐스테이트 2단지다. 현대건설이 영동차관아파트 재건축을 통해 공급한 단지로, 준공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시설 개선 요구가 높아진 곳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안에 맞춤형 제안을 완료할 계획이며, 세대당 사업비는 대략 1억원 미만으로 예상된다.

정비사업과 달리 이주비나 금융비용 부담이 없다는 점도 차별화 요소다. 사업 추진 방식은 단지 상황에 따라 공동주택관리법 또는 주택법 적용이 가능하며, 장기수선충당금 활용과 관리규약 개정 등으로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다.

현대건설은 공사 과정에서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는 입장이다. 단계별 시공으로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구획을 나누고, 공용부 개선 중심으로 공사를 수행해 생활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신설되는 건축물과 현대건설이 시공한 모든 공사 항목에는 법정 하자보증기간을 동일하게 적용해 품질에 대한 우려도 낮추겠다고 밝혔다.

회사는 “더 뉴 하우스가 단지의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는 데서 나아가 주거문화까지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며 “주민이 이주하지 않고 삶의 질을 높이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