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전경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준공하며 수소사회 전환에 속도를 낸다.
현대건설은 24일 전북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시설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됐다.
이번에 완공된 생산기지는 총 5000㎡ 규모.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방식을 적용해 하루 최대 1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수소차 약 15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현대건설은 연말까지 시운전을 마친 뒤 오는 2026년부터 상업 운영에 돌입할 계획이다.
생산된 수소는 부안군 내 수소 연구시설과 충전소 등에 공급돼 에너지 자립 도시 구축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수전해 방식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이용해 물을 분해하는 기술이다. 탄소 배출이 없는 그린수소 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생산기지가 들어선 부안군은 해상풍력과 수상태양광 등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갖춘 지역으로 청정 수소 생산에 유리한 입지로 평가된다.
현대건설은 설계부터 기자재 구매, 시공까지 전 과정을 주도했다. 수소 플랜트 분야 전문 인력을 투입해 기술력을 집약했다.
24일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 4번째), 권익현 부안군수(왼쪽 5번째),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왼쪽 1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밸류체인 전반의 역량 강화에 나선다.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추진 중인 수소 생태계 구축의 핵심 파트로, 그룹 차원의 전략에도 보조를 맞추는 행보다.
앞서 현대건설은 ▲국내 최초 고온수전해 실증 ▲5MW급 PEM 수전해 시스템 개발 ▲울진 수소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등 다수의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수소 인프라 사업 경험을 축적해왔다.
여기에 해상풍력, 태양광, CCUS, 바이오가스, SMR 등 청정에너지 분야까지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시장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건설은 수소 생산기지 준공에 이어 ‘부안 수소도시 조성 마스터플랜 및 세부시설 계획’ 용역도 수행 중이다. 단일 프로젝트를 넘어 지역의 청정에너지 전환과 도시 인프라 재편까지 주도하는 역할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를 성공적으로 준공해 매우 뜻깊다”며 “수소경제 전환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