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용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신임 예술감독 (사진=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뷰어스=이휘경 기자] ”오케스트라가 한국적인 색깔을 가진, 예술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작품들을 작곡가들이 많이 만들어 내길 기대합니다”
정치용 코리안심포니 신임 예술감독은 3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취임 기념 음악회 기자간담회에서 3년 임기 기간 활동 계획과 관련한 코리안심포니 만의 비전과 계획을 밝혔다.
정 감독은 취임 소감에 대해 “코리안심포니는 협연 등을 통해 굉장히 익숙하다. 다만 식구로서 활동을 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식으로 식구가 됐다는 것이 소중하다고 느낀다”며 “그동안 이어온 인연을 앞으로 조금 더 친근감 있게 이어가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코리안심포니의 향후 활동 계획에 대해선 “3년이라는 세월이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하다. 때문에 횟수를 생각하고 시작을 하지는 않겠다”며 “늘 해왔던 것처럼 단원들과 좋은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 연주가 끝나고 단원들과 내가 값지고 소중한 기억을 갖게 될 수 있도록 이끌어보려 한다”고 말했다.
■ "예술적 가치 높은 작품, 기회 있을 때마다 연주할 것"
특히 정 감독은 코리안심포니의 상주작곡가의 사명을 강조하며 국내 음악계 전반적인 체질개선에도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앞서 서양음악의 소화력과 별개로 한국적인 느낌과 레퍼토리 개발을 강조한 정 감독은 “상주 작곡가 시스템을 잘 활용해서 앞으로 우리 냄새가 진하게 풍기면서도 예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들을 발굴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연주할 것”이라며 “해당 장르가 우리나라 음악계에 잘 자리 잡기를 기대하면서 기회들을 많이 만들어보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정 감독은 이 연장선상에서 “국내 오케스트라 역사 대비 작곡가 발굴은 더뎠다”며 ”굉장히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고 당부했다. 또 “코리안심포니 작곡가들은 이러한 색깔을 가진 작품을 쓰고, 그런 기회들을 최대한 만들려고 생각한다”며 “하나의 전통처럼, 꾸준히, 당연히 이런 일들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리매김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설명했다.
코리안심포니는 발레, 오페라 등 폭넓은 래퍼토리가 강점이다. 다만 1년에 100회 이상의 연주 횟수가 아쉬움으로 남기도 한다. 이에 대해 정 감독은 “횟수가 아주 많다”고 지적하면서도 “코리아심포니 단원의 숫자는 80명이 채 안 된다. 적은 숫자로 많은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면서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퀄리티다. 그러나 소화할 만큼 오케스트라의 규모나 충분치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열정이 꾸준히 살아있는 오케스트라”라는 평가와 함께 정 감독은 창원, 원주, 인천시향을 거치며 항상 주지해 왔던 신념을 또 한 번 강조했다. 그는 “단원들이 오케스트라를 하고 있는 동안 가장 행복했으면 좋겠다. 연습, 연주 시간이 굉장히 소중한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면서 “그러려면 음악에 집중하고 음악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고 늘 말한다. 지금껏, 앞으로 단원들과 교감하고자 하는 가장 큰 화두”라고 밝혔다.
■ "연주 횟수와 규모 키우겠다" 당찬 포부
그러면서 정 감독은 앞으로 코리안심포니의 정기연주 횟수와 오케스트라 규모를 점차 늘려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예술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 이전에 재정적인 문제, 살림에 관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80명 이하 인원으로는 발전된 모습을 보이기엔 부족하다. 앞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중점을 둬야겠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코리안심포니의 새 수장이 된 정 감독은 오는 22일 취임 기념 음악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취임 기념 음악회에서 정 감독은 브루크너 교향곡 제8번을 초연한다. 코리아심포니의 토대를 마련한 초대 음악감독인 고(故) 홍연택을 기리는 메모리얼 콘서트라는 마음으로 선택한 곡이라는 설명이다.한편, 정 감독은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전공하고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국립음악대 대학원 지휘과에서 공부했다. 유학시절 오스트리아 국제지휘콩쿨 대상,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은 정 감독은 1997년 원주시향 지휘를 시작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 부천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등 다수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 및 예술감독을 역임하며 국내 최정상급 지휘자로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