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이사회에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하고 첫발을 내딛었다. 앞서 탄소중립 선언 등 올해 혁신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포스코가 내세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포스코의 비전에 주주들이 찬성의 손을 들어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 내년 1월28일 임시주총을 열어 지주회사 체제 전환 승인의 건을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상장은 지양 지주회사 체제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하며 지주회사는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 및 투자 관리, 그룹 R&D 및 ESG 전략 수립 등을 맡는 구조다.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물적 분할되어 지주회사가 100% 소유하게 된다. 철강 사업회사 뿐만 아니라 향후 지주사 산하 신규 설립되는 법인들도 상장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철강회사의 비상장 유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신설 철강회사의 정관에 ‘제3자배정, 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핵심사업 재상장에 따른 기존 주주가치 훼손을 방지하고 지주사와 자회사의 주주간 이해관계 상충 문제 발생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향후 그룹 사업을 위한 자금이 필요할 경우 자회사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은 지양하고 지주사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주도적으로 사업을 이끌어나갈 계획이다. 지주사는 그룹 사업의 영역별 전문 인사를 보강해 균형 성장에 걸맞은 이사회를 구성하고 사외이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이사회 중심의 선진 그룹 경영을 강화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의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했다. 핵심 사업별 경쟁력 제고를 통해 그룹의 균형 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2030년 기업 가치를 현재의 3배 이상 증가시킨다는 목표다.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크게 ▲미래 사업 포트폴리오 개발 ▲그룹 사업 개편 및 시너지 확보 ▲그룹 R&D 전략 수립 ▲ESG 경영 리딩의 역할을 맡게 된다. 지주회사 체제 아래 포스코그룹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The global business leader for sustainable future of humanity)’라는 비전을 향해 7대 핵심 사업 중심의 성장을 도모한다. 그룹 7대 핵심 사업은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Agri-Bio)이며, 각 사업은 ▲철강 탄소중립 완성 ▲新모빌리티 견인 ▲그린에너지 선도 ▲미래 주거 실현 ▲글로벌 식량자원 확보라는 5대 지향점을 향해 추진된다. ■ 포스코, 가치 재평가 기대되지만 포스코는 지주회사 체제 전환에 따른 그룹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 재평가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 포스코가 철강 사업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릴 뿐 아니라 국내외 이차전지소재, 수소 사업 등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코스피 상승과는 달리 포스코의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포스코가 철강 중심 기업이라는 인식 때문에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그룹 안팎에서 대두됐다. 문제는 주총 통과여부다. 주주들의 동의 없이 포스코가 그리는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9.75%), 70%가량은 개인 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가다. 앞서 국민연금은 LG화학,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안건에 대해서도 반대했었다. 국민연금이 설득된다 해도 소액주주들의 찬성도 필요하다. 주주입장에선 지주회사가 사업회사를 떼어내 상장하거나 사업회사 지분 일부를 매각하면 사업회사에 대한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희석될 수 있어 우려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주주들을 제대로 설득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신성장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지만 탄소중립, 신사업 등 막대한 투자비용 예상되는 부분이다. 업계는 주주간 이해관계 신뢰도와 사업자금 조달 계획 등이 주총을 판가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장을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상장하지 않는 회사에 얼마나 투자가 이뤄질지, 자금이 필요할 때 마지막까지 상장을 미뤄둘 수 있을지 주주들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포스코 지주회사 전환은 당장 주총이 마지막 문턱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포스코, 지주사 전환 첫발…주총 문턱만 남았다

주가영 기자 승인 2021.12.13 11:04 | 최종 수정 2021.12.13 11:30 의견 0

포스코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이사회에서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하고 첫발을 내딛었다. 앞서 탄소중립 선언 등 올해 혁신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포스코가 내세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포스코의 비전에 주주들이 찬성의 손을 들어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의결했다. 내년 1월28일 임시주총을 열어 지주회사 체제 전환 승인의 건을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상장은 지양

지주회사 체제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상장사로 유지하며 지주회사는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 및 투자 관리, 그룹 R&D 및 ESG 전략 수립 등을 맡는 구조다.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물적 분할되어 지주회사가 100% 소유하게 된다.

철강 사업회사 뿐만 아니라 향후 지주사 산하 신규 설립되는 법인들도 상장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는 철강회사의 비상장 유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신설 철강회사의 정관에 ‘제3자배정, 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핵심사업 재상장에 따른 기존 주주가치 훼손을 방지하고 지주사와 자회사의 주주간 이해관계 상충 문제 발생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향후 그룹 사업을 위한 자금이 필요할 경우 자회사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은 지양하고 지주사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주도적으로 사업을 이끌어나갈 계획이다. 지주사는 그룹 사업의 영역별 전문 인사를 보강해 균형 성장에 걸맞은 이사회를 구성하고 사외이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이사회 중심의 선진 그룹 경영을 강화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을 그룹의 핵심 기반사업으로 선정했다. 핵심 사업별 경쟁력 제고를 통해 그룹의 균형 있는 성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2030년 기업 가치를 현재의 3배 이상 증가시킨다는 목표다.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는 크게 ▲미래 사업 포트폴리오 개발 ▲그룹 사업 개편 및 시너지 확보 ▲그룹 R&D 전략 수립 ▲ESG 경영 리딩의 역할을 맡게 된다.

지주회사 체제 아래 포스코그룹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The global business leader for sustainable future of humanity)’라는 비전을 향해 7대 핵심 사업 중심의 성장을 도모한다.

그룹 7대 핵심 사업은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Agri-Bio)이며, 각 사업은 ▲철강 탄소중립 완성 ▲新모빌리티 견인 ▲그린에너지 선도 ▲미래 주거 실현 ▲글로벌 식량자원 확보라는 5대 지향점을 향해 추진된다.

■ 포스코, 가치 재평가 기대되지만

포스코는 지주회사 체제 전환에 따른 그룹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 재평가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 포스코가 철강 사업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릴 뿐 아니라 국내외 이차전지소재, 수소 사업 등에서도 적극적으로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코스피 상승과는 달리 포스코의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포스코가 철강 중심 기업이라는 인식 때문에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그룹 안팎에서 대두됐다.

문제는 주총 통과여부다. 주주들의 동의 없이 포스코가 그리는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9.75%), 70%가량은 개인 투자자 및 외국인 투자가다.

앞서 국민연금은 LG화학,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안건에 대해서도 반대했었다. 국민연금이 설득된다 해도 소액주주들의 찬성도 필요하다. 주주입장에선 지주회사가 사업회사를 떼어내 상장하거나 사업회사 지분 일부를 매각하면 사업회사에 대한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희석될 수 있어 우려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주주들을 제대로 설득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신성장 사업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지만 탄소중립, 신사업 등 막대한 투자비용 예상되는 부분이다.

업계는 주주간 이해관계 신뢰도와 사업자금 조달 계획 등이 주총을 판가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장을 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상장하지 않는 회사에 얼마나 투자가 이뤄질지, 자금이 필요할 때 마지막까지 상장을 미뤄둘 수 있을지 주주들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포스코 지주회사 전환은 당장 주총이 마지막 문턱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