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2030년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을 목표로, 7대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 발굴을 추진한다. (사진=연합뉴스)
포스코가 지주사 체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을 계기로 지속가능한 성장 발판 마련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가 최근 ‘2030년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을 목표로 7대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 철강 사업, 친환경 생산체제 기반 구축‧프리미엄 제품 강화
우선 철강 사업은 친환경 생산체제 기반 구축, 프리미엄 제품 판매 강화, 해외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
현재 철강 산업은 환경이 최우선 가치로 부각돼 각 국가와 기업들이 탄소중립계획을 발표하고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강화하고 있으며, 환경규제와 맞물린 무역 장벽 역시 높아지고 있다. ‘Green Steel’로 불리는 친환경 고급강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환경 부담에 따른 철강설비 증설은 자제되면서 수급 환경의 대변화도 예상된다.
이러한 철강산업을 둘러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포스코는 국내에서는 2030년까지 사회적 감축 10%를 포함해 CO2 배출량 총 20% 절감을 목표로 2조원을 투자해 탄소중립 생산체제 구축에 나선다. 탄소중립의 첨병인 수소환원제철은 2030년까지 국책과제를 통해 포스코 고유의 수소환원제철 모델 HyREX(하이렉스)의 데모 플랜트를 구축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동시에 석탄 사용 저감 기술과 신규 전기로 도입 등을 통해 저탄소 제품 요구에 대응하고, 친환경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여 향후 2022년부터 2030년까지 평균 13%의 영업이익률 달성을 목표로 사업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해외에서는 2030년까지 12조원을 투자해 현재 510만 톤의 조강 능력을 2310만 톤으로 확대하고, 영업이익률은 7%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Green Steel 생산 등 친환경 경쟁력을 보유한 지역을 중심으로 원료및 에너지 파트너사와의 협력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인도의 경우 향후 그린수소 생산 경쟁력이 높을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수소 활용까지 고려한 진출 전략을 수립했으며, 철강산업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동남아 시장의 수요에 대비해 인도네시아 일관밀 확장을 계획 중이다. 풍부한 철 스크랩 등 친환경 철원류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또한 Green Steel을 주도하는 신성장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 향후 미국에서의 전기로 일관밀 합작도 고려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30년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을 목표로, 7대 핵심 사업과 미래 사업 발굴을 추진한다. (사진=포스코)
■ 이차전지소재 사업, 선도 기술 확보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현재 약 11만5000톤에서 2030년 68만 톤까지 확대하고, 선도 기술 확보를 통해 글로벌 Top-Tier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먼저 양극재는 국내와 중국에서 배터리사를 공략한 생산기지 집적화를 추진하고, 미국에서는 GM과의 합작을 통해 대규모 공장을 설립하는 등 생산능력을 2030년 42만 톤까지 확장한다. 다양한 수요처 확보를 위해 프리미엄부터 저가형 제품까지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차세대 배터리 소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전고체전지용 소재도 개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음극재는 흑연계에서 글로벌 리딩 경쟁력을 유지하고 실리콘계 사업에 진출해 2030년 26만 톤의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은 흑연의 경우 천연흑연 공급처를 탄자니아, 호주 등 중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인조흑연 역시 이번 달 1단계 준공을 마친 국내 유일의 생산 공장을 기반으로 자체 수급 능력을 갖춰 경쟁력을 높인다. 차기 전기차에 사용될 실리콘계 음극재는 2023년 양산 설비 구축을 목표로 유럽 완성차 업체와 제품 개발에 협력 중이다.
■ 리튬·니켈 사업, 생산능력 확보해 글로벌 Top 제조사로
이차전지소재의 원료인 리튬과 니켈 사업은 자체 보유한 광산·염호와 친환경 생산 기술을 통해 2030년까지 리튬 22만톤, 니켈 14만톤의 생산 능력을 갖춘 글로벌 Top 제조사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리튬은 포스코가 2018년 선제적으로 확보한 아르헨티나 염호와 호주 필바라社의 광산 지분을 통해 경쟁력 높은 공급체계 구축을 지속한다. 포스코는 지난 10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친환경 리튬 추출 기술을 확보했으며, 전고체 전지용 황화리튬과 리튬메탈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도 개발 중이다.
니켈은 2030년까지 광석 기반 11만 톤, 리사이클링 추출 3만 톤으로 총 생산능력 14만 톤을 확보할 방침이다. 호주와 인도네시아 등의 글로벌 니켈사와 합작해 생산능력을 확충하는 한편, 급증하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에 적기 대응 할 수 있도록 기존 스테인리스스틸용 니켈 일부를 배터리용 고순도 니켈로 전환하는 투자를 진행 중이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을 위해 내년 11월 광양에 1단계 리사이클링 공장을 준공 예정이다. 글로벌 폐배터리 수거 네트워크 보유사와 협력해 배터리 순환 경제 완성에도 기여한다.
■ 수소사업, 2050년까지 연간 700만톤 수소 생산 체제 구축
수소 사업은 2030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해 연간 매출 2조3000억원, 생산 50만톤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후 20년간 사업을 고도화해 2050년까지 연간 700만톤의 수소 생산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Top 10 수소 공급 기업으로 자리 잡는다는 포부다.
포스코는 자체 수소환원제철과 그룹사 포스코에너지의 발전 사업으로도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수요가 발생하는 기업이다. 안정적인 내부 수요를 기반으로 적극적 외부 판매까지 연계하는 수소 사업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초기 단계에서는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활용해 수소 시장에 진출한다. 포스코는 2026년까지 연간 7만 톤의 부생수소(그레이수소)를 연료전지 및 모빌리티용으로 공급하는 체제를 갖출 계획이다. 이후 2030년까지는 해외에서 추진 중인 블루·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본격화해 연간 50만톤으로 생산량을 증대한다. 이후 2040년 300만톤, 2050년 700만톤으로 생산 능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국내외 철강, 연료전지, 발전, 충전소 등 대규모 B2B 수요처에 수소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포스코는 7대 전략국가에서 19건의 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공급망과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중동에서는 글로벌 최대 석유기업과 프로젝트 지분투자를 통한 블루수소 할당 구매권리(Off-take) 확보를 추진 중이며, 재생에너지 생산 여건이 우수한 호주와 오만 등에서는 철강을 연계한 다수의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수소 생산과 활용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과학기술원과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암모니아 크래킹 기술 연구 개발에 착수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과는 원전 연계 고온 수전해 기술 연구를, 두산중공업과는 암모니아 혼소터빈 발전기술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 에너지 사업, 수소경제와 연계한 사업 확대
에너지 분야에서는 LNG, 암모니아, 신재생에너지 등 수소경제와 연계한 사업을 확대한다.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가교로 주목받는 LNG의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광양에 LNG 터미널 2단계 증설 사업을 진행 중이며, 당진 등에도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LNG를 생산하는 E&P 사업은 미얀마 가스전 추가 개발을 지속하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에서의 탐사 자산 개발도 진행할 계획이다.
발전 사업은 장기적으로 LNG 발전을 청정 수소 발전으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먼저 LNG 발전에 암모니아 혼소기술을 적용한 저탄소 발전을 추진한다. LNG 발전 외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도 해외 선진기업과의 합작 등으로 확대해 나가면서, 그룹의 에너지 분야 발전용량을 2030년까지 현재의 약 2.5배인 8.3GW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건축·인프라 및 식량 사업, 친환경 인프라 기반의 지속 성장 도모
건축·인프라 분야는 2030년 친환경 수주액 4조3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제로에너지빌딩, 모듈러 건축 등 친환경 분야의 수주를 확대하는 한편, 수소생산 플랜트 및 그린뉴딜 연계 해상풍력 플랜트 사업도 확장해 친환경 인프라 기반의 지속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식량 사업(Agri-Bio)은 2030년 매출 10조 원을 목표로 우크라이나와 북남미 지역에서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사업 교두보 마련에 나선다. 국제 환경인증을 기반으로 환경이슈가 야기되지 않은 팜 농장 인수 혹은 팜유 정제사업 진출을 추진하면서, 글로벌 식량 메이저로서 취급량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 미래사업 발굴, 벤처 투자해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
포스코는 지주회사 체제 아래, 벤처투자를 그룹의 신사업 발굴 채널로 지속 활용함과 동시에 유망 벤처기업을 글로벌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으로 육성함으로써 그룹의 미래 가치를 제고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 누계 8000억원의 펀드 출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포스코의 출자액과 외부 벤처펀드 자금을 합한 펀드 결성 총액은 4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벤처펀드는 이차전지소재, 수소 등 그룹 성장 사업 연관 분야 투자와 그래핀, 바이오 등 미래 유망 신수종 분야 투자로 나누어 진행된다. 벤처투자를 포스코그룹의 사업 역량 강화는 물론 그룹의 Seed 사업 발굴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포스코그룹은 “과거에도 수차례 지주사 전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과거 경험해보지 못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이야 말로 경영구조 재편에 최적기라는 이사회의 공감대가 있었다”며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사업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미래 신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육성함은 물론, 그룹 사업간 시너지 창출을 통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그룹의 지속가능한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