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비트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자료=에코비트) 에코비트가 그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성과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비전을 담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에코비트는 ESG 경영 성과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책자 대신 웹사이트 형식으로 에코비트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또한, 웹 특성을 활용해 목차 클릭 한번으로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레이아웃을 구성했다는 설명이다. 에코비트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GRI 기준과 EU 기업 지속 가능성 보고지침(CSRD)에서 소개한 평가 방식, 기업의 경영활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Inside-out)과 각 이슈가 기업의 경영에 미치는 영향(Outside-In)을 고려한 개념인 이중 중대성 평가(Double Materiality Assessment)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선정한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9가지 중대이슈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9가지 중대 이슈에는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사업장 안전보건’ ▲‘ESG경영체계’ 등을 담았다. 에코비트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기후위험, 기회의 재무 영향 분석을 실시하고 각 위험과 기회에 대한 대응방안을 설정했다. 또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넷제로 전략을 수립했다. 사업 특성을 반영해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2035년까지는 RE100을 목표로 설정했다. 목표 이행을 위해 그 성과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도 계획하고 있다. 향후 발전된 CCUS 등의 신기술이 상용화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사업장 안전보건을 위해 지난해 주요 152개의 사업소에 대해 합동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위험요인을 발굴했으며 지난해 말 기준 97% 조치 완료했다. 올해도 안전보건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경영수준 향상, 안전보건 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자율안전문화의 정착이라는 네 가지 항목에 대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등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에코비트는 ESG경영체계 마련을 통해 ESG 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나타냈다. 지난해에는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회는 기업의 핵심 전략에 ESG를 포함해 ESG 성과를 평가 및 분석하여 각 부문 별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ESG 협의체는 ESG 경영위원회에서 수립한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ESG 경영위원회 및 협의체의 활동을 이사회 산하조직인 준법감시위원회에 보고하는 체계 구축을 통해 ESG 경영을 고도화했다. 또한 에코비트는 이사회 전문성, 다양성, 독립성확보를 통해 회사 경영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자 2026년 말까지 사외이사 선임, 여성이사 확대 등 구체적 전략을 수립하였다. 에코비트 최인호 총괄대표이사는 CEO메시지를 통해 에코비트의 ESG 경영비전 '함께 행복을 만들어가자는 우리의 방향성과 열정을 담은 목표(Together for the Happiness)'을 소개했다. 최 대표는 "처음 발간되는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시작으로, 에코비트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여러분께 투명하게 보여드리려 한다"며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 들어 나가기 위한 에코비트의 여정에 여러분의 동행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에코비트, ESG경영위원회 출범 이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첫 발간

정지수 기자 승인 2024.06.19 08:52 | 최종 수정 2024.06.19 08:58 의견 0
에코비트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자료=에코비트)

에코비트가 그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성과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비전을 담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에코비트는 ESG 경영 성과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책자 대신 웹사이트 형식으로 에코비트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또한, 웹 특성을 활용해 목차 클릭 한번으로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레이아웃을 구성했다는 설명이다.

에코비트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GRI 기준과 EU 기업 지속 가능성 보고지침(CSRD)에서 소개한 평가 방식, 기업의 경영활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Inside-out)과 각 이슈가 기업의 경영에 미치는 영향(Outside-In)을 고려한 개념인 이중 중대성 평가(Double Materiality Assessment)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선정한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9가지 중대이슈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9가지 중대 이슈에는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사업장 안전보건’ ▲‘ESG경영체계’ 등을 담았다.

에코비트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기후위험, 기회의 재무 영향 분석을 실시하고 각 위험과 기회에 대한 대응방안을 설정했다. 또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넷제로 전략을 수립했다. 사업 특성을 반영해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2035년까지는 RE100을 목표로 설정했다. 목표 이행을 위해 그 성과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도 계획하고 있다. 향후 발전된 CCUS 등의 신기술이 상용화되는 시점이 도래하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사업장 안전보건을 위해 지난해 주요 152개의 사업소에 대해 합동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위험요인을 발굴했으며 지난해 말 기준 97% 조치 완료했다. 올해도 안전보건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경영수준 향상, 안전보건 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자율안전문화의 정착이라는 네 가지 항목에 대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등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에코비트는 ESG경영체계 마련을 통해 ESG 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나타냈다. 지난해에는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회는 기업의 핵심 전략에 ESG를 포함해 ESG 성과를 평가 및 분석하여 각 부문 별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ESG 협의체는 ESG 경영위원회에서 수립한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ESG 경영위원회 및 협의체의 활동을 이사회 산하조직인 준법감시위원회에 보고하는 체계 구축을 통해 ESG 경영을 고도화했다. 또한 에코비트는 이사회 전문성, 다양성, 독립성확보를 통해 회사 경영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자 2026년 말까지 사외이사 선임, 여성이사 확대 등 구체적 전략을 수립하였다.

에코비트 최인호 총괄대표이사는 CEO메시지를 통해 에코비트의 ESG 경영비전 '함께 행복을 만들어가자는 우리의 방향성과 열정을 담은 목표(Together for the Happiness)'을 소개했다.

최 대표는 "처음 발간되는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시작으로, 에코비트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여러분께 투명하게 보여드리려 한다"며 "함께 더 나은 미래를 만 들어 나가기 위한 에코비트의 여정에 여러분의 동행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