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만성 질환의 증가는 눈 건강에도 적신호를 켜고 있다. 특히 습성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과 같은 망막질환 환자가 늘고 있지만,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방치하다 시력 손실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다. 황반변성은 시력의 핵심인 황반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으로, 실명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사진=JC빛소망안과)


황반변성은 노폐물이 쌓여 서서히 시력이 나빠지는 건성과, 망막 아래 비정상 혈관이 자라 출혈이나 부종을 일으키며 시력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습성으로 구분된다. 습성 황반변성은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거나 중심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을 보이지만, 노안으로 오인하기 쉬워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당뇨망막병증이나 망막정맥폐쇄 등 다른 망막질환 역시 마찬가지다.

다행히 최근에는 이러한 망막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시력을 지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망막주사'가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안구 내부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이 치료법, 특히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고 망막 부종과 출혈을 줄여 시력 저하를 막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외래에서 비교적 간단하게 시술받을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망막주사 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주사 횟수와 간격이 달라지므로, 반드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료 계획을 세심하게 조절해야 한다.

JC빛소망안과 최경배 대표원장은 "황반변성 등 망막질환은 한번 진행되면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기에, 50대 이상이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증상이 없더라도 매년 안저 검사를 받는 것이 조기 발견의 지름길"이라며, "망막주사 등 좋은 치료법이 개발된 만큼, 예방과 조기 진단을 통해 소중한 시력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라고 조언했다.

결국 망막 질환 관리의 핵심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치료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함께 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노력이 병행될 때, 건강한 시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