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척추질환인 목디스크와 허리디스크를 호소하는 연령층이 낮아졌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척추질환 환자 분석에 따르면, 전체 척추질환 신규 환자 118만명 중, 20~30대는 전체의 약 40%인 47만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목/허리디스크는 중장년증에서 발병했으나, 최근에는 젊은 층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압구정 모본 한의원 송재철 원장.(사진=모본 한의원)


척추 뼈 사이 디스크 안의 추핵이 섬유륜을 뚫고 밀려나오는 것을, 보통 '디스크가 터졌다'고 이야기한다. 허리에 한 순간의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무리한 행동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디스크가 터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어느날 갑자기 터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목과 허리에 스트레스가 쌓여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젊은 층의 목과 허리 디스크는 잘못된 생활습관이 그동안 허리에 누적돼 발현된 것으로 본다.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서 지내고,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을 보느라 허리는 밖으로 굽어 C커브가 소실되고, 목은 앞으로 내밀어 소위 거북목으로 만드는 습관은 척추의 건강에 치명적이다.

압구정 모본 한의원 송재철 원장은 "목과 허리의 디스크를 방치하면 디스크가 심해지는 것은 물론, 어깨, 손, 다리, 발이 저린 방사통으로 이어져 일상생활이 불편해지므로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는 관리를 잘 하면 예후가 좋은 질병이므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데, 초기 비수술적 치료로 한의치료가 한 방법일 수 있다.

송 원장은 "목과 허리 디스크 치료는 초기, 진행, 말기의 단계별로 환자에 맞게 진행하는데 침치료와 함께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하는 한약을 복용하여 디스크의 진행을 막고, 약침으로 척추 주변에 발생한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디스크는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대부분 낫는 질환"이라며 "목과 허리에 디스크가 오면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여 걱정을 하는데, 먼저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 한약요법, 약침, 추나요법등의 한방 통합치료를 꾸준히 받아서 척추의 자생력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