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의 새 주인 찾기가 시계제로 상황에 빠졌다. EU의 기업결합 반대로 현대중공업과 인수합병은 사실상 불발 됐다는 게 업계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EU가 LNG 독점을 반대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어 대우조선해양은 삼성중공업의 품에 안기기도 어려워졌다. 대우조선해양의 '민간 주인 찾기'에 대한 난망이 나오는 지점이다.
1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EU집행위원회가 전날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의 기업 결합을 승인하지 않았다. 중국과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 기업결합심사에 나선 국가 다수는 조건 없이 승인했으나 EU가 제동을 걸면서 사실상 조선업계 빅딜은 무산됐다는 평이 나온다.
조선과 항공 등 다국적 기업은 기업결합을 진행할 때 주요 경쟁국가 전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반대하는 국가가 있어도 합병은 가능하지만 해당 국가로부터는 수주를 받을 수 없다. 이에 경쟁당국의 전원 허가를 목표로 인수합병을 추진하는 게 일반적이다.
현대중공업은 즉각 입장문을 발표하고 EU의 최종 심사결과에 대해 "비합리적 결정"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2년 넘게 인수합병을 추진한 현대중공업 입장에서도 난감하지만 대우조선해양에게는 더욱 치명적이다.
현대중공업지주는 한국조선해양에 1조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한 뒤 다시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해양에 1조50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는 계획이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 같은 지원을 통해 민간 주인 찾기라는 근본적인 경영 정상화와 재무구존 개선을 통한 경영 정상화도 동시에 이룰 것이라는 기대를 보였다.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297.3%에 달했던 상황이다.
정부와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은 공동성명을 내고 "EU의 불승인 결정은 아쉽지만 조선산업 여건이 개선돼 국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민간 업계에서 계속해서 주인을 찾을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우조선해양을 품을 만한 국내 조선사는 현대중공업그룹을 제외할 경우 삼성중공업 정도다.
다만 삼성중공업 역시 현대중공업과 마찬가지로 LNG독점이라는 EU의 반대 명분을 고스란히 안고 있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LNG 운반선 수주량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87%다.
삼성중공업이 설령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나선다고 하더라도 이 독점 해소 방안을 제출하지 못할 경우 똑같은 반대에 부딪힐 확률이 높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국내 LNG선 관련 최고 기술력이 되려 발목을 잡았다"라며 "EU 측이 합병사 LGN선 점유율을 50% 이하로 만들라면서 사실상 LGN선 사업을 매각하라는 압박을 넣었는데 이는 현대중공업 입장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이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