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 조감도. (자료=쌍용건설) 대전산업단지와 대전벤처협동화단지 등 대전 최대 규모의 산업단지가 밀집된 대덕구에 새 아파트가 들어선다. 쌍용건설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 일원에 들어설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의 견본주택을 오는 28일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는 지하 3층~지상 25층 11개 동 총 745세대 규모의 이 아파트는 조합원분 411세대를 제외한 ▲59㎡A 47세대 ▲59㎡B 220세대 ▲74㎡ 13세대 ▲84㎡ 54세대 등 334세대를 일반 분양한다. 아파트가 들어설 대전 대덕구는 지난 3월 기준으로 아파트 총 4만2524채 중 87.1%가 10년 이상 경과했고, 이중 20년이 넘은 아파트는 4채 중 3채는 75.2%(3만1968세대)에 달한다. 최근 10년간 공급된 아파트가 800세대가 되지 않는다. 또 읍내동은 인근에 대전 제1·2 일반산업단지와 평촌 중소기업단지, 대전벤처협동화단지 등 대전을 대표하는 최대규모의 산업단지가 밀집돼 있다. 계족산과 한밭수목원, 송촌체육공원 등을 가까이 누릴 수 있는 숲세권이기도 하다. 교통환경으로는 올해 대전 전역을 연결하는 트램라인이 착공 예정이며 개통시점(2028년 예정)엔 단지 앞에 2호선 읍내역(가칭)이 들어선다. 내년에 경부고속도로 회덕IC와 그 이듬해에 예정된 충청권 광역철도 회덕역이 개통된다. 사업지 인근에는 대덕구청 이전(2026년 예정)과 함께 약 1500세대가 들어설 연축지구 도시개발사업과 약 1600여 세대 규모의 효자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될 계획이다. 단지는 커튼월 룩 외관을 적용하고, 각 세대(일부 제외)에는 팬트리와 광폭 드레스 룸 등 특화설계도 도입한다. 쌍용건설 분양 관계자는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는 대전 최대 규모 산업단지 인근에 오랜만에 공급되는 직주근접형 새 아파트”라며 “최근 아파트 선택 시 가장 선호하는 숲세권에 교통과 생활 인프라까지 잘 갖추고 있어 인근의 고소득 산업단지 근무자 등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쌍용건설, 대전 대덕구에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 분양

총 745세대 규모 중 334세대

정지수 기자 승인 2024.06.27 13:14 의견 0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 조감도. (자료=쌍용건설)

대전산업단지와 대전벤처협동화단지 등 대전 최대 규모의 산업단지가 밀집된 대덕구에 새 아파트가 들어선다.

쌍용건설은 대전광역시 대덕구 읍내동 일원에 들어설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의 견본주택을 오는 28일 열고 본격적인 분양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는 지하 3층~지상 25층 11개 동 총 745세대 규모의 이 아파트는 조합원분 411세대를 제외한 ▲59㎡A 47세대 ▲59㎡B 220세대 ▲74㎡ 13세대 ▲84㎡ 54세대 등 334세대를 일반 분양한다.

아파트가 들어설 대전 대덕구는 지난 3월 기준으로 아파트 총 4만2524채 중 87.1%가 10년 이상 경과했고, 이중 20년이 넘은 아파트는 4채 중 3채는 75.2%(3만1968세대)에 달한다. 최근 10년간 공급된 아파트가 800세대가 되지 않는다.

또 읍내동은 인근에 대전 제1·2 일반산업단지와 평촌 중소기업단지, 대전벤처협동화단지 등 대전을 대표하는 최대규모의 산업단지가 밀집돼 있다. 계족산과 한밭수목원, 송촌체육공원 등을 가까이 누릴 수 있는 숲세권이기도 하다.

교통환경으로는 올해 대전 전역을 연결하는 트램라인이 착공 예정이며 개통시점(2028년 예정)엔 단지 앞에 2호선 읍내역(가칭)이 들어선다. 내년에 경부고속도로 회덕IC와 그 이듬해에 예정된 충청권 광역철도 회덕역이 개통된다.

사업지 인근에는 대덕구청 이전(2026년 예정)과 함께 약 1500세대가 들어설 연축지구 도시개발사업과 약 1600여 세대 규모의 효자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될 계획이다.

단지는 커튼월 룩 외관을 적용하고, 각 세대(일부 제외)에는 팬트리와 광폭 드레스 룸 등 특화설계도 도입한다.

쌍용건설 분양 관계자는 “쌍용 더 플래티넘 네이처는 대전 최대 규모 산업단지 인근에 오랜만에 공급되는 직주근접형 새 아파트”라며 “최근 아파트 선택 시 가장 선호하는 숲세권에 교통과 생활 인프라까지 잘 갖추고 있어 인근의 고소득 산업단지 근무자 등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