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토가 AI(인공지능) 시대에 글로벌 IT업체향 공급 계약 규모 증가로 인해 성장세를 키워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판매 데이터 종류도 음성 및 이미지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고 언어 데이터 기술을 통한 솔루션 사업 성과 역시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다.

22일 오현진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플리토는 전 세계 1400만 유저 플랫폼 기반으로 얻은 최신 언어 데이터를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이 가능하다"며 "구축과정 내 유저 동의를 통해 저작권 문제가 없는 점도 플리토 데이터 수요를 증가시킨다"고 강조했다.

플리토는 AI 언어 데이터 전문 업체로, 자체 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언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연구기관 혹은 다양한 산업 내 기업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다. 특히 플리토는 최근 글로벌 IT 기업 향으로 64억원 규모의 ‘AI 기반 언어 모델의 연구 및 개발용 데이터 공급’ 계약을 공시했다.

오 애널리스트는 "이들 기업은 플리토의 주요 고객으로 파악되며, 2022년 첫 공급 계약 이후 매년 수주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며 "판매 데이터의 종류도 기존 텍스트 중심에서 음성 및 대화, 이미지 데이터로 확대되는 점도 공급 계약의 규모와 수익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솔루션 사업도 주목해야 할 포인트다. 플리토는 축적한 언어 데이터 및 정제 기술을 통해 고객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 사업에 진출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학회 및 행사에서 발표 언어를 실시간으로 통번역해주는 LT(Live Translation)와 양방향 동시 통역 최적화 솔루션 CT(Chat Translation)이다.

오 애널리스트는 "아직 매출 규모는 작지만 향후 확장성 및 데이터 판매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주목한다"며 "특히 CT 제품은 최근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기업의 설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기술 고도화로 경쟁력 강화 지속 늘어나는 수요에 플리토의 2025년 실적은 매출액 261억원(YoY 29%) 영업이익 35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며 "사업 성과 본격화와 함께 제품 경쟁력 향상을 위한 AI 업체와의 협업 발표 및 주주 친화적 의사 결정 행보는 플리토의 기업가치 제고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