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내 싱크탱크 한림대 도헌학술원 학술심포지엄에서 박정호 부회장이 “챗GPT와 같은 AI 챗봇은 반도체 수요 새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챗GPT(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AI) 모델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웃음 짓고 있다.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의 새 수요처로 꼽히기 때문이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AI 챗봇은 반도체 수요 새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5일 국내 싱크탱크 한림대 도헌학술원 학술심포지엄에서 박 부회장은 “AI 시대에 일어날 기술 혁신의 중심에는 메모리 반도체가 있을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박 부회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에서 ‘AI 시대,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과거 애플 아이폰이 메모리 반도체와 함께 발전했듯, AI의 발전과 함께 메모리 반도체도 성장할 전망이다.
박 부회장은 “메모리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한 대표적 사례 중 하나는 아이폰”이라며 “아이폰의 모태인 아이팟이 처음 출시될 당시 메모리가 하드디스크를 대체해 스마트폰 혁신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2000년대에 출시된 아이팟 나노에는 낸드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돼 휴대성과 디자인이 강화됐다. 최신 아이폰 모델은 아이팟 나노 용량 대비 250배 커져 최대 1TB까지 증가했다.
‘챗GPT’와 같은 AI 모델을 이용한 서비스 시대에도 마찬가지다. 박 부회장은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그는 “챗GPT 등 AI 시대가 펼쳐지면서 전 세계 데이터 생성과 저장,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최고속 D램인 HBM은 AI 시대 기술 진호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의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HBM3는 초당 데이터 처리 속도가 819GB에 달해 초고속 AI 반도체 시장에서 최적의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최근 SK하이닉스는 HBM3를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등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3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CPU)에 직접 연결되는 기존 메모리 용량 확장의 한계를 넘기 위해 CXL 등 공유 메모리 역할도 커질 전망이다. 이는 서버 등에서 특정 플랫폼을 채용함과 동시에 메모리 용량고 성능이 고정되는 한계를 탈피한 메모리다. AI, 메타버스 등의 서비스를 위한 고성능 연산 시스템에서 주목받고 있다.
박 부회장은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 유지를 위한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우수 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 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현재 예상으로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총 5만4000명 수준으로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며 “인재 확보가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전국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도 언급했다. 이와 함께 대기업, 소부장, 학계가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미니 팹’ 구축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시제품고 테스트 목적으로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박 부회장은 “반도체는 국가 차원에서 강화해야 한다”며 “IT 기술 진화에 있어 필수 부품인 메모리는 영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