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한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에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면서 입지 굳히기에 들어갔다. 특히 최근 심전도 감시 보험 수가를 획득한 실시간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를 통해 디지털헬스케어 영역 확장을 노리고 있다.
대웅제약은 3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호텔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하고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가 국산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최초로 ‘원격심박기술에 의한 감시’ 보험수가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씽크는 씨어스테크놀로지의 환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웨어러블 바이오센서와 모니터링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활용해 환자의 실시간 생체신호를 분석·관리한다. 웨어러블 바이오센서가 심전도, 체온, 산소포화도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AI로 분석해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다. 앞서 작년 3월 대웅제약은 씨어스와 씽크의 국내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아프면 병원가서 검사받고 치료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이제는 평소 축적한 건강 데이터로 질환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대웅제약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인 건강 관리 솔루션을 도입, 보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를 실현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영신 씨어스테크놀로지 대표는 간담회 자리에서 "씽크는 특히 심정지, 패혈증, 낙상 등을 감지하고 조기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즉각 대응할 수 있어 환자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며 "현재 전공의와 간호사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의료 현장의 효율성과 환자 관리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제 의료기관에서는 씽크를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 환자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이번 보험수가 획득은 씽크의 기술력이 인정받은 중요한 이정표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웅제약은 씽크를 시작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먼저 이번 씨어스테크롤로지의 씽크의 보험수가 획득을 계기로 올 상반기 안에 스카이랩스의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를 씽크에 연동시킬 방침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더욱 확장하고 스마트한 의료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앞서 대웅제약은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도입해왔다. 대표적으로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이 있다. 모비케어는 국내 웨어러블 심전도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며 전국 840여개, 카트비피는 발매 4개월 만에 1200여개 병의원에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프리스타일 리브레의 경우 대웅제약이 개발한 국산 36호 신약 엔블로와 연계해 당뇨병 치료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웅제약은 씽크를 오는 2026년까지 3000개 병상에 도입하겠단 목표다. 지난해 씽크의 국내 유통을 시작하면서 60억원 규모의 매출을 발생시켰고 올해는 두배 이상의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상급병원을 넘어 씽크를 도입하고 있는 준종합병원도 늘고 있는 추세다.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지난 2020년부터 연속혈당측정기 리브레를 시작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며 "대웅제약은 당뇨, 심장, 눈 등 다양한 질환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을 확대하고 진단부터 사후관리까지 가능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을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409억달러로 집계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1.9%로 성장해 2030년에는 8092억달러(약 106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