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닌텐도)

닌텐도가 신형 콘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2 가격과 출시일을 발표한 이후 유저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닌텐도는 지난 2일 온라인 쇼케이스인 닌텐도 다이렉트 직후 홈페이지를 통해 기기 출고 가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전용 모델은 4만9980엔(약 50만원), 해외용인 다언어 대응 모델은 6만9980엔(약 70만원)으로 나타났다. 내수용보다 해외 버전이 2만엔(약 20만원)이나 비싸다.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마이크로소프트 Xbox 시리즈 등 콘솔 게임기 가격은 각 국가의 환율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다만 이번 닌텐도 스위치2의 경우 내수용과 해외용의 가격 차가 40%에 달해 논란이 벌어지는 중이다. 내수용 기기는 일본어만 지원하며, 일본 내 어카운트가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기기의 성능은 사실상 같다.

해외 커뮤니티 레딧에서는 “다른 언어를 쓴다는 이유로 저 금액을 내야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나온다. 동일한 기기와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일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지원한다는 이유만으로 40% 더 비싸게 구입해야 하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닌텐도가 일본 자국 유저들을 위해 해외 유저들을 희생시키는 것 아니냐”라는 반응까지 나온다. 스위치2의 한국 가격은 64만8000원, 미국은 449.99달러(약 66만원), 유럽은 469.99달러(약 69만원)이다.

한국에서 닌텐도 스위치2는 사전 추첨 판매를 진행한다. 이 추첨 판매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유료인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를 1년 이상 유지했고, 신청 시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를 구독하고 있어야만 한다.

하지만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던 게이머들이 많아, 벌써부터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스위치의 경우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인기 타이틀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기대를 모은 신형 기기지만 론칭 타이틀이 약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닌텐도가 공개한 스위치2 론칭 타이틀은 레이싱게임 ‘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최신작인 ‘마리오 카트 월드’다. 더불어 프롬 소프트웨어의 독점 신작 ‘더스크블러드’를 비롯해 ‘동키콩 바난자’, ‘젤다 무쌍: 에이지 오브 임프리즌먼트’ 등의 출시를 예고했다.

하지만 전작 스위치1에서 선보인 세계적 히트작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과 비교하면 론칭 타이틀의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한편, 닌텐도는 오는 4일 미국 뉴욕과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닌텐도 스위치2 체험회를 진행한다. 한국에서는 5월 31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린다. 체험회 참가자도 사전 응모를 받아 추첨을 통해 선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