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넥슨관에 몰린 인파. (사진=넥슨)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여야가 게임 이용자들의 잡기 위해 게임 관련 공약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30 세대를 중심으로 게임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면서, 각 정당을 비롯해 관련 단체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3월부터 게임 전담 조직인 '게임특별위원회'를 발족, 간담회를 통해 이용자와 업계 의견을 적극 수렴 중이다.
게임 정책은 게임을 취미로 삼은 청년층 및 2030 유권자들의 주요 관심사다. 게임을 하나의 문화로 인정하고, 균형성 있는 정책이 요구되는 만큼 각 공약의 방향성·실효성에 이목이 몰리고 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저지 ▲e스포츠 생태계 조성 ▲등급분류 제도 개선 ▲게임·e스포츠 컨트롤타워 설립 등을 주요 과제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지난 3월 게임특위 출범식에서 "게임산업은 정부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적어 어려움을 겪은 게 현실"이라며 "게임에 대한 관심을 높여 하나의 산업으로 세계를 무대로 발전할 수 있게 하고 게임 이용자들 역시 부당함을 당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과 개혁신당도 게임산업과 e스포츠 진흥, 이용자 보호를 중심으로 한 정책을 준비 중이다.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 확정 절차가 마무리된 후 구체적인 게임 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며, 개혁신당 역시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주요 의제로 삼아 자체 게임 정책 초안을 마련하고 있다.
업계 또한 대선을 앞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게임산업협회는 여야에 주 52시간 근로제 완화,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미도입, 게임 수출 세제 지원 등 산업 진흥책을 제안했다.
또 한국게임이용자협회는 확률형 아이템 정의 범위 확장, 유료 상품 사양 변경 시 상세 고지 의무화, e스포츠 및 게임 리터러시 정책 지휘소 설립 등 이용자 권익 보호 정책을 여야에 제안했다.
이철우 게임이용자협회장은 "이전과 달리 각 정당에서 게임 이용자 관련 정책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신 것 같아 고무적"이라며 "이번 대선에서 게임 이용자들의 공약 제안이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