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손기호 기자)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23.6%를 기록하며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8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3946건 중 932건이 신고가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월(22.9%)보다 높은 수치로 이른바 불장으로 불렸던 2022년 7월(27.9%)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6·27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고가 아파트 중심의 수요가 여전히 견고함을 보여주는 대목인 셈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제한, 전세대출 규제 등의 강도 높은 조치로 인해 7월 거래량 자체는 전월 대비 약 64% 감소했음에도 일부 지역과 고가 아파트는 오히려 신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가격대별로는 12억~20억원 구간과 30억원 초과 거래에서 신고가 갱신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북·동작·성동·마포구 등 도심 지역에서는 맞벌이 고소득층이나 갈아타기 수요 중심으로 고가 아파트에 대한 매수가 이어졌고, 30억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거래는 전체의 20%를 차지해 희소성과 상징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 (자료=국토교통부, 직방 편집)

반면 9억원 이하 아파트의 신고가 비중은 18%에 그치며 규제의 직격탄을 맞았다. 대출 규제가 실수요자의 구매력을 제한하면서 실거래는 물론 신고가 갱신 사례도 줄어든 모습이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61.5%로 가장 높았고, 용산구(59.5%), 강남구(51.6%)가 뒤를 이었다. 강남권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계약이 7월 통계에 반영되면서 신고가 비중이 더 높아졌다. 서초동, 반포동, 잠원동 등에서는 40억원대 아파트 거래가 잇따랐고 용산 이촌동에서는 한강뷰를 갖춘 중대형 아파트가 42억원에 거래되며 주목을 받았다.

신축 아파트 비중이 높은 강남구에서도 개포자이프레지던스(84.7㎡, 40억원), 개포래미안포레스트(84.8㎡, 33억원) 등이 신고가에 거래됐다. 광진구(38.2%), 송파구(36.8%), 마포구(34.2%) 등 도심 주요 지역도 강세를 보였다.

다만 노원·도봉·성북·구로·중랑구 등 중저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3~4% 수준에 머물렀다. 실수요자의 자금 여력 부족과 대출 의존도가 높은 특성이 거래 위축으로 이어지며 강남권과의 시장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7일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통해 수도권 135만호 공급 계획을 포함한 중장기 공급 청사진을 발표했다. 착공 기준으로 공급 실효성을 높이고 민간 참여 확대와 대체 부지 활용, 노후 공공시설 재정비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공급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급 방안의 실효성은 향후 추진 속도와 수요 억제 정책의 균형 여부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7월 신고가 비중 증가는 단순한 시장 과열이 아니라,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이 이뤄지고 있다는 신호"라며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중저가 시장은 위축된 반면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지역의 희소성과 상징성에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시장의 양극화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