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상경제회의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위기의 기업들에 대해 ‘기업안정화 지원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를 비롯한 경제 5단체는 조속한 처리를 당부하고 나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5개 단체는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기간산업을 살리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후속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건의했다.

정부 지원 방안에 환영의 뜻을 전하면서도 조속한 처리가 이어져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기간산업을 살리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경제계 건의'라는 제목의 건의문을 공동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2일 청와대에서 제5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 단체는 "기간산업의 위기로 전후방 산업인 기계, 철강, 전자 등은 물론 관련 중소기업과 서비스산업으로 위기가 파급되고 있다"라며 "기간산업의 위기는 우리 제조업의 근간을 흔들 뿐만 아니라 수십만 일자리의 위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제조업, 특히 기간산업이 이 위기를 버티지 못하고 쓰러지면 복구가 불가능하고 우리 경제는 미래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반면 위기를 잘 넘긴다면 우리 제조업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조성을 포함한 '기업안정화 지원방안'을 발표한 것에 적극 환영한다"라며 "기업 현장의 유동성 확보가 시급한 만큼 산업은행법 개정, 기금채권 국가보증 동의안 처리 등 후속 조치가 이번 20대 국회에서 신속하게 처리돼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또한 "지원대상 업종과 지원규모는 국내외 경제상황, 산업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국가경제에 반드시 필요한 기업이 지원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탄력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현재의 경영위기가 기업 내부의 귀책사유가 아닌 팬데믹에 의한 불가항력적 상황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만큼 기업의 자율성과 정책효과가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세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위기를 잘 넘긴다면 우리 제조업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경제계는 정부와 국회의 기업 지원 노력에 부응해 기업을 살리고 현재와 미래의 일자리를 창출해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