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벡이 비만과 BBB 투과 셔틀 발표 및 추가 기술 이전 모멘텀을 남겨두고 있어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향후 기술 이전과 지속적인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성과가 확인될 때마다 주가 역시 계단식 우상향세를 그릴 것이라는 진단이다.

나이벡은 지난 5월 말 미국 소재 제약/바이오 기업에 섬유증 치료제 NP-201(β1integrin agonist)을 계약금 $8mn, 최대 마일스톤 $427mn에 기술 이전했다. NP-201은 호주 1상을 완료하였으며, 미국 2상 진입을 준비 중이다.

26일 허혜민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나이벡의 파트너사인 뉴코(NewCo)는 기술 이전 및 인수합병을 주된 전략으로 삼아 빠른 임상 속도를 강점으로 삼는 바이오 기업으로 대표적으로 화이자에 인수된 멧세라가 있다"며 "이번 기술 이전의 독특한 점은 지역별로 나누지 않고, 치료 영역별로 나눠서 기술 계약을 했다는 점으로 폐질환 외에 비만/종양/뇌질환 분야에서는 나이벡이 독자적으로 개발 및 상업화가 가능해 추가 기술 이전 기회를 남겨두었다"고 설명했다.

NP-201 외에도 AI기반 다중 표적 펩타이드의 신규기전 폐동맥고혈압(PAH) 치료제가 전임상 중이며, 이는 파트너사의 전문 분야이며 우선협상권을 갖고 있어 추가로 기술 이전이 가능하다는 게 허 애널리스트의 분석이다.

그는 "PAH 분야는 빅파마의 특허만료가 오는 2028~2030년 대거 만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매출 20억달러 이상의 물질 찾는 데에 혈안이 되고 있다"며 "유효성 확인되면 추가 기술 이전 가능성 또한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아울러 나이벡은 위가 아닌 대장에서 흡수가 가능한 경구제형 약물전달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다. 나이벡은 경구 비만 치료제(NP-201 확장 적응증) 미국 2상을 준비 중에 있으며, BIO-Europe에서 다수 미팅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허 애널리스트는 "기술 이전 파트너사가 공개가 되지 않았고, 주요 파이프라인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임상 데이터도 공개되지 않아, 아직 시장의 신뢰를 확보해야하는 단계"라면서도 "이는 점차 NP-201이 2상에 진입하면서 파트너사가 공개되고, 임상 개발이 진척될수록 데이터 확인도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그는 "현재 나이벡의 현금성 자산은 약 290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소재 공급 계약을 맺은 스트라우만과 노벨을 통해 공급 지역 확대된다면 의료기기 분야 실적 개선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