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사옥 전경(사진=LH)
한국토지주택공사(LH) 혁신 논의에 건설업계가 숨죽이고 있다. 공공시장 '큰손'으로 꼽히는 LH의 발주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경우 건설사 먹거리도 그만큼 줄어드는 탓이다.
26일 LH 관계자는 올해 LH 발주 계획과 관련해 "혁신안이 나와봐야 올해 발주 계획이 원활히 진행된다 혹은 힘들겠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올해 1분기 예정된 물량은 계획대로 거의 집행했다"고 밝혔다.
LH는 지난달 16조5339억원에 달하는 2021년 발주 계획을 내놨다. 용역 건수로 봐도 2391건이다. 지난 2018년 LH는 10조원을 발주한 이후 ▲2019년 11조 1700억원 ▲2020년 15조8000억원을 발주하며 공공시장 큰손으로 불렸다.
■발주 예정대로 진행한 LH, 건설업계도 애타지만 당장은 괜찮아
LH의 ‘2021년 공사 및 용역 확정 발주계획’에 따르면 올해 발주한 건설공사는 15조5240억원으로 전체 발주금액의 93.9%다. 건설업계에서 LH의 조속한 정상화를 기대하는 이유다.
그러나 LH의 공사 발주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도 당장은 타격이 크지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LH가 시공사를 선정한 경우라면 건설사 입장에서 난감할 수 있겠지만 아직은 거의 발주 계획만 내놓은 상황이라 타격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며 "업계 내부적으로는 '그냥 좀 지연되는구나' 정도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LH도 올해 1분기만 놓고 봤을 경우 발주 계획을 예정대로 거의 집행하며 흔들림 없는 모습을 보였다.
LH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발주 예정 금액은 8734억원으로 전체 발주 금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또 LH는 이 중 7869억원의 규모의 발주를 진행하면서 90%가량을 집행했다. 땅투기 사태로 비롯된 혁신안 논의 등으로 발주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와 달리 견실한 모습을 보였다.
■'해체 수준' LH 쪼개기 혁신안 거론, 발주 계획 최대 변수..중견건설사 타격 우려
그러나 LH 땅투기 사태로 인한 혁신안 논의 등으로 발주 계획이 정상적으로 집행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LH를 지주회사 형태로 전환하고 임대·주택·토지 등 각 기능을 담당할 자회사로 쪼개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 LH 혁신안을 두고 여당과 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되면 이달 안에는 최종안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거론된 LH 지주회사 형태 전환의 경우 지주회사에는 주거복지 기능과 함께 LH 등 자회사를 견제하는 기능을 맡기고 주택관리 등 여타 기능은 별도 자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이다.
LH는 토지, 주택, 도시재생 업무를 중심으로 하는 개편하고 지주사는 자회사를 관리·감독한다. 3기 신도시 투기 등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보·권한의 집중을 막고 자회사를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 주거복지 사업을 담당하는 지주사도 만들어 매입 및 전세임대, 임대주택 정체 등을 맡게 한다.
핵심 자회사인 LH가 토지 조성과 주택 건설 등 사업을 하는 가운데 기타 자회사가 LH를 지원하고 자회사가 올린 수익을 모회사로 보내 비수익 사업인 주거복지 기능을 지원하는 구조다.
이 같은 혁신안에 따라 조직이 크게 개편될 경우 발주 계획 집행이 다소 늦어지는 상황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쏟아지는 하반기 발주와 관련해 LH가 1분기와 같이 발주 계획을 집행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이는 지점이다.
관급공사 의존도가 높은 건설사의 경우 타격이 불가피할 수 있다. 계룡건설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도급건축공사 76건 가운데 관급공사가 47건이었다. 주요 발주처에는 LH도 포함됐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LH 사업 중 토지공급 측면을 본다면 토지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건설사에게 영향력이 큰 부분이 있다"며 "LH 혁신안으로 예정된 사업에 딜레이가 된다면 대형건설사보다는 중견건설사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