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9월 증시 부진은 피할 수 없는 걸까. 국내 증시가 미국의 금리인하 불확실성과 관세 이슈 등에 발목이 잡혀 있다. 여기에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거버넌스 개선이 대립하며 3100~3200선을 횡보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같은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하반기 실적개선이 예상되는 업종별 대응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1일 키움증권이 발간한 월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9월 평균 등략률은 코스피 –1.0%, 나스닥 –2.1%로 집계됐다. 코스피지수는 지난달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한 끝에 5개월 만에 처음으로 수익률 마이너스를 기록한 상태다.
한지영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현재 국내 증시 역시 뚜렷한 방향성을 잃고 있는 것과 관련해 금리인하 유무 등 증시 성장을 제약하는 불확실성 요인과 국내 거버넌스 개선이 맞물린 점을 지목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금리인하의 경우 미 연준이 8월 말 잭슨홀 미팅을 통해 금리 동결 불안감을 일부 해소했으나, 연준의 독립성 위협 등으로 불확실성이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관세 충격은 보편관세에서 상호관세로 영향권이 전환돼 여진이 이어지는 상황"이라며 "9월 중 발표되는 고용,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주요 실물 지표가 확인돼야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라고 봤다.
반면 국내 거버넌스 개선 측면에서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상법개정안과 배당소득분리과세 등 세제 개편안이 코스피의 하방을 받쳐주는 상황이다. 그는 "정부의 과세 강화 기조에 따라 분리과세율이 높아지며 정책적 모멘텀이 일부 손상됐으나, 여당 내부적으로 논쟁이 치열한 만큼 과세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 조선·원전 모멘텀 '유효', 금융·바이오 등도 '주목'
이에 키움증권은 9월 박스피 대응 전략으로 기존 주도주 비중을 유지하고, 반등이 예상되는 소외주에 대한 비중 확대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먼저 조선업·원전 업종은 8월 조정을 겪어왔으나 향후 중·러 견제를 위한 한·미 제조업 파트너십 구축에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중 유지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특히 조선업은 필리조선소 투자로 대표되는 마스가(MASGA,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 원전은 원전 공급망 재건을 위한 한·미 협력이 가시화되는 등 수주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금융지주의 경우 자사주 소각 의무화, 배당소득분리과세 최고세율 완화 등 정책 개편과 관련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성훈 애널리스트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고 자사주 비중이 높은 점이 대표적인 정책 수혜주로 거듭날 배경으로 꼽힌다"며 비중 유지 의견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바이오 업종은 관세 충격 등 기존 불확실성 요인으로 실적 하향 흐름이 이어졌으나 하반기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해소되며 저점을 딛고 반등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 애널리스트는 "소외주둘은 10월 이후 우위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9월 조정 중 비중 확대 관점으로 접근하는 전략을 추천한다"면서 "자동차 업종은 배당 등 주주환원 메리트가 있는 만큼 배당소득 분리과세 개편의 수혜를 입을 수 있고 바이오 업종은 연준의 금리인하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