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자동차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 내 자동차의 급격한 가격 변동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15일(현지시간) 무뇨스 사장은 외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하룻밤 사이에 엄청난 가격 인상을 보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향후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수입차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현지 자동차 가격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현대자동차는 이달 초 미국에서 가격을 두달 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무뇨스 사장은 "해당 발표 후 현지 판매 실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관세 부과 후 가격 상승을 우려해 구매를 망설이던 소비자들의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그는 일부 모델을 라인업에서 제외하거나 현지 가격을 크게 인상할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향후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 무뇨스 사장은 자동체 업체들이 저가 모델에 대해서는 단기적 수익성 악화를 감수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엔트리 레벨의 가격이 3000∼4000달러(약 429만∼571만원)씩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 (시장의) 고객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해 가격을 그렇게 올리면 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무뇨스 사장은 지난달 현대차가 미국에 약 30조원(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음에도 미국 정부가 자동차 관세를 부과한 상황에 대해선 "우리는 인센티브나 관세 때문에 움직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에게 미국은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