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화오션)


SK증권이 한화오션에 대한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했다. 여전히 많은 수주 모멘텀과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 분위기까지 감안시 수혜가 가능할 것이라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16일 SK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한화오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35.1%, 277.8% 늘어난 3조848억원, 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전분기 대비 낮은 조업일수 효과로 인한 매출액 감소는 불가피했으나, 저가호선 소화 및 고선가 비중 확대, 우호적인 강재가 및 환율 효과 지속, 그리고 재고자산 드릴십 소송 관련 일회성 환 입 요인 발생하면서 시장 예상치(1459 억원)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는 것이다.

한승한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주가 상방을 닫을 이유가 전혀 없다"고 분석했다. 먼저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북미 LNGC 발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 중 그룹사와 함께 투자한 Next Decade의 Rio Grande LNG 프로젝트향 LNGC 발주 물량 확보 가능성 높다는 것. 또한 저가호선 소화를 통한 공정 정상화 진입에 따른 본격적인 실적 개선세의 시작으로, 고선가 물량 건조 비중 확대를 통해 향후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를 시현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애널리스트는 "미국 필리조선소를 통해 외국 조선소에서 함정 건조가 불가능한 ‘반스-톨레프슨 수정법’에 위배되지 않아 미 함정 수주에 있어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한화그룹의 오스탈 인수 시 앨 리버마주 모바일 지역에 위치한 Austal USA 를 기반으로 차세대 콘스탈레이션급 프리 깃함(FFG(x)-62) 사업 수주와 한화오션의 시너지를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폴란드 ORKA 와 캐나다 CPSP 프로젝트 등 미 함정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다수의 함정 프로젝트 수주 기대감을 통한 상승 모멘텀 재료는 많이 남아있다는 것.

그는 "시간이 지날수록 수주 가능성은 가시화될 것이고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및 높은 강도의 IMO의 탄소부과금 제도 시행 예정에 따라 긴 흐름의 사이클 지속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SK증권은 한화오션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5만7000원에서 9만7000원으로 상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