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존(이영찬 회장) 본사의 운영방식이 도마 위에 올랐다. 불공정 사례가 잇따라 수면 위로 떠오르는가 하면 서버 마비로 인한 가맹점 피해보상까지, 그야말로 사면초가에 몰린 모양새다. 

앞서 지난 4월 골프존은 스크린골프 유료서비스 'GL이용료' 논란이 헌법소원 청구로 번졌다. 골프존이 고객들이 스크린골프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연간 수 천 만원의 코스 이용료를 고객이 아닌 점주들에게 선납하도록 해서 부당 이익을 취했다는 가맹점주의 지적이다. 또 점주들이 이를 납부하지 않으면 스크린골프 기기 사용을 중단시켜 영업을 할 수 없도록 해 코스 이용료를 사실상 강제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런 가운데, 골프존 서버가 마비되면서 가맹점에 대한 피해 보상을 해야 할 위기에 놓였다. 자매 브랜드인 스트라이크존 가맹점주들까지 나서 불공정 사례를 문제 삼는 등 골프존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16일 골프존 운영체제에 장애가 발생, 전국 수천 개 직영점과 가맹점 서비스가 2시간 20분여 간 중단됐다. 이로 인해 골프존 서비스를 이용하던 고객들은 중간에 발길을 돌려야 했다. 뿐만 아니라 가맹점은 하루 중 가장 많은 손님이 몰리는 퇴근 시간대 영업을 못하게 되면서 직접적인 금전 손실을 입었다.  

이와 관련, 골프존 측은 내부 회의를 통해 피해 수준을 집계한 후 보상 방안에 대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서비스 장애는 앞서 골프존 불공정 행위를 다시 수면 위로 올렸다. 가맹점주들의 혼란과 매출 피해가 막심한 상황인데다, 자매 브랜드 스트라이크존 가맹점주 모임 전국스트라이크존경영주협회가 본사 불공정 사례를 취합,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한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본사의 부담은 커졌다. 

잇따른 논란에 일각에서는 골프존 운영 방식을 문제로 들며 시정돼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앞서 골프존 역시 국회의원까지 나서 '불공정 문제'를 꼬집고 나서 헌법소원 청구 조짐이 일었던 바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비례대표)은 지난 4월 3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에서 일련의 사안으로 인해 부담을 갖고 문을 닫는 점주들이 많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추 의원은 점주들이 문을 닫는 상황에서 골프존의 코스이용료 매출액은 2017년 기준 1200억원에 달했다면서 "공정위는 점주들이 사용료에 코스이용료를 반영해 고객에게 청구하면 된다고 하지만 스크린골프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료를 인상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골프존이 처음 사업을 시작하는 점주들에 원가의 10배가 넘는 비싼 기기를 구매하도록 해 폭리를 취해왔다고 주장하며 "이후 시간이 지나 기기 시장이 포화에 이르자 코스이용료를 신설해 점주들에 강제했는데 이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거래상 지위남용 행위"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