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가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사고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신속한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사고 발생 한 달이 지나도록 주민 대피와 생계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와 정치권은 책임 있는 후속 조치를 촉구한 데 따른 조치다.

포스코이앤씨는 20일 입장문을 내고 “사고로 인해 심려와 피해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피해 주민의 안전과 일상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신속하고 책임 있는 보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는 현재 대피비용과 일부 영업피해를 선지급하고 있다.교통 불편 해소를 위한 차량 운영 등도 함께 추진 중이다. 아울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위한 사고조사위원회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 신안산선 전체 노선에 대한 안전점검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4월11일 경기도 광명시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함께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12일 소방대원들이 실종자 수색을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


하지만 시민단체와 정치권의 반발은 거세다. 같은 날 국회 소통관에서는 광명시와 지역구 국회의원, 피해 주민,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석자들은 “한 달이 지나도록 주민 55명이 여전히 임시숙소에서 지내고 있고, 주변 자영업자들도 생계 위기에 몰려 있다”며 “정부와 시공사는 더 이상 책임을 미루지 말고 전면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고 원인 규명 전까지 전 공구 공사 중단, 사고 환풍구 재시공 반대, 인근 학교의 소음·분진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박승원 광명시장도 이날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 있는 조치, 신속한 사고 수습과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다”며 “무너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강력한 재발방지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사고는 지난 4월11일 오후 3시13분경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5-2공구 지하 터널 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당시 터널을 지지하던 기둥이 무너지면서 작업 중이던 포스코이앤씨 소속 근로자 1명과 굴착기 기사가 매몰됐다. 굴착기 기사는 구조됐지만 근로자는 닷새 뒤 숨진 채 발견됐다. 사고 당일 오전부터 지반 침하가 있었다. 전날 밤에도 기둥 파손이 확인돼 일부 근로자가 대피했지만 보강공사를 강행하던 중 붕괴로 이어졌다.

경찰은 현재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와 하청업체, 감리사 등 관계자 3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하고 안전진단과 사고 대응 과정의 적절성 여부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경기도 5개 지자체장은 신안산선 시공 전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부 조치를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에 서명했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피해 주민의 삶이 하루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며 “지속적인 협의와 보상, 안전 조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