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건설부문에서 신규수주 4조원이 넘는 역대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주택 부문 침체 속에서 비주택 수주로 체질을 개선한 덕분이다. 다만 지난해 경영실적은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남았다.

코오롱글로벌 과천 사옥. (사진=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 건설부문은 지난해 약 2조3000억원, 인프라부문 약 1조9000억원 등 4조2000억원 규모의 수주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1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2022년 세운 최고수주액 3조6569억원을 넘은 기록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1168억원 규모 부산 하단1구역 마수걸이 수주를 시작으로 도시정비 부문에서만 6657억원을 수주했다. 또한 서울시 모아타운 1호 사업장인 번동 1~10구역 2060가구, 면목역 3의 1~3구역 702가구, 천호 1~2구역 385가구 등 모아타운사업을 추진하면서 하늘채 브랜드타운을 확장하고 있다.

민간건축과 플랜트 등 산업건설을 비롯해 비주택 부문 강화를 통한 체질개선도 수주고를 올리는 데 한몫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대한항공 신엔진정비공장, 머크 바이오시설 공사, 정읍바이오매스 발전소 공사 등 비주택 부문에서 2조3000억원 이상의 수주를 달성했다.

이처럼 코오롱글로벌은 건설부문은 지난 2021년 8000억원 수준이었던 비주택부문 신규수주를 2022년 1조1000억원, 2023년 1조6000억원, 2024년 2조3000억원 등으로 꾸준히 늘렸다. 회사는 비주택부문은 빠른 착공과 짧은 공사 기간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이를 통해 코오롱글로벌의 수주잔고는 사상 최대수준인 13조8000억원까지 늘렸고, 전년 매출액 기준 5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했다.

다만, 지난해 경영실적은 영업손실을 기록해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남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76억원 대비 약 532억원 줄어든 45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적자로 돌아섰다. 이와 관련 회사 관계자는 "건설경기 둔화에 따른 영업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힘든 여건 속에서도 도시정비, 비주택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질의 신규수주를 이뤄냈다"면서 "역대최대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 확보과 지속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